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01 금요일
맑음
서울 32˚C
구름
부산 32˚C
구름
대구 38˚C
맑음
인천 30˚C
흐림
광주 31˚C
흐림
대전 33˚C
흐림
울산 31˚C
흐림
강릉 29˚C
흐림
제주 3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영업재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SKT 영업재개에도 번호이동 '후끈'…번호이동 67만명…LG유플러스 최대 수혜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 해킹 사태의 여파가 6월 이동통신 시장에서도 계속됐다. 한 달간 번호이동 가입자 수가 약 67만명에 달하며 평상시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SK텔레콤이 신규 영업을 재개했음에도 시장 과열은 식지 않았으며 5월과 달리 LG유플러스가 가장 큰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 6월 이통3사와 알뜰폰 간 번호이동 건수는 총 66만661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93만 명을 넘어섰던 5월보다는 줄어든 수치지만 사태 이전 월평균 50만 명 수준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치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SK텔레콤 이탈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 구도다. 5월에는 KT가 약 20만명을 유치하며 압도적인 반사이익을 누렸지만 6월에는 LG유플러스가 SK텔레콤에서 넘어온 고객 8만7774명을 확보하며 KT(8만2043명)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통사들이 경쟁적으로 판매장려금을 쏟아부으며 가입자 쟁탈전을 벌인 결과로 풀이된다. SK텔레콤은 지난달 24일 신규 영업을 재개하며 방어에 나섰다. 영업 재개 시점에 맞춰 90만원이 넘는 판매장려금을 책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KT와 LG유플러스, 알뜰폰으로부터 각각 3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다시 뺏어왔다. 하지만 영업 재개 초반 순증과 순감을 반복하는 등 시장 신뢰를 완전히 회복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알뜰폰으로의 이동은 눈에 띄게 줄었다. SK텔레콤에서 알뜰폰으로 이동한 가입자는 5월 8만5000여 명에서 6월 3만8000여 명으로 급감하며 사태 이전 수준으로 돌아왔다. 이는 이통3사가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면서 알뜰폰의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희석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25-07-01 16:50:09
800만명 넘겼다… SKT '유심 대란' 끝 보인다…가입자 불편 해소 자신감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eSIM(이심)을 통한 신규 가입을 재개하며 43일 만에 영업 정상화에 시동을 건다. 유심(USIM) 교체 대란으로 전면 중단했던 신규 영업을 이심 방식으로 우선 재개하고 기존 예약 고객의 불편 해소에도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지난 15일까지 누적 유심 교체 가입자가 807만명을 넘어섰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유심 교체 지연 사태 해결을 위한 정부의 행정지도 1차 목표치를 넘어선 수치다. 지난달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행정지도에 따라 신규 영업을 중단할 당시 누적 교체 인원과 잔여 예약자를 합한 수는 약 801만명이었다. 사태 초기 SK텔레콤은 기존 가입자의 유심 교체에 집중하기 위해 전국 직영점과 대리점에서 이심을 통한 신규 가입 업무까지 자발적으로 중단했다. 과기정통부가 물리적 칩이 필요 없는 이심 신규 영업까지는 막지 않겠다는 입장이었음에도 내린 결정이었다. 하지만 유심 교체 작업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영업 재개를 위한 여건이 마련됐다. SK텔레콤은 지난주부터 이번 주까지 총 350만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했다. 현재 남은 예약자 182만명을 모두 소화하고도 남는 물량이다. 현장의 혼란도 눈에 띄게 줄었다. 유심 사태 초반 고객이 몰렸던 부산 서면의 한 T월드 대리점은 현재 하루 유심 교체 방문객이 3~5명 수준으로 한산해졌다고 전했다. 하루 최대 30만명까지 유심 교체가 가능한 점을 고려하면 이번 주 내 누적 교체 인원은 900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이르면 19일부터 전면적인 신규 영업 재개가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과기정통부 역시 잔여 예약자 수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면 신규영업 중단 행정지도를 철회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전국 2600여개 T월드 매장에서 이심을 이용한 신규가입이 가능하다"면서도 "기존 예약 고객이 유심 교체에 불편이 없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오는 20일부터 예약자가 직접 매장 방문일을 지정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고객 편의성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2025-06-16 12:49:39
SKT, 누적 유심 교체 802만 돌파…20일까지 교체 완료 목표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해킹 사태 이후 진행한 유심 교체 작업이 누적 802만건을 돌파하며 전체 교체율 80%를 넘어섰다. SK텔레콤은 이번 주 내로 교체 작업을 사실상 마무리 짓고 중단됐던 신규 영업 활동 재개를 모색할 방침이다. 15일 SK텔레콤 뉴스룸에 따르면 전날까지 802만명의 가입자가 유심 교체를 마쳤으며 남은 예약 고객은 183만명이다. SK텔레콤은 오는 16일까지 잔여 예약자 전원에게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20일까지 이들에 대한 교체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다만 교체율 100% 달성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전망이다. 예약 안내를 받고도 대리점을 방문하지 않는 고객이 40만 명 이상에 달하고 매일 2만~3만 건의 신규 예약이 꾸준히 접수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SK텔레콤 측은 일일 교체 가능 물량이 잔여 예약자 수를 넘어서는 시점을 사실상 교체 완료로 보고 있다. SK텔레콤은 20일 이후에도 희망 고객이 원활하게 유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물량을 확보하는 한편 향후 고객이 직접 교체 날짜를 지정하거나 예약 없이 방문해 교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예정이다. 이번 주 내 유심 교체 작업을 최대한 마무리하고 신규 가입 재개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당면 과제다.
2025-06-15 12:08:19
'갤럭시S25가 공짜' 소문 현실로…주말 성지발 대란, SKT 고객 잡아라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한 가입자 이탈이 계속되자 KT와 LG유플러스가 불법 보조금 경쟁에 불을 붙였다. 주말부터 일부 유통점을 중심으로 타사 번호이동 고객에게 120만원에 달하는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는 현행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행위다. 1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와 LG유플러스는 소위 '성지' 매장에서 SKT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파격적인 보조금을 내걸었다. 갤럭시 S25 모델 기준 KT는 105만109만원, LG유플러스는 110만120만원의 번호이동 지원금을 지급한다. 출고가가 115만5000원인 갤럭시 S25를 사실상 공짜로 제공하는 셈이다. 이는 통신사를 바꾸지 않는 자사 기기변경 고객 지원금 60만원대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많은 금액으로 심각한 이용자 차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보조금 살포는 SKT의 영업 공백기를 틈타 가입자를 최대한 빼앗아 오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실제 SKT 해킹 사태가 알려진 4월 22일 이후 54만명이 넘는 가입자가 KT와 LG유플러스로 이탈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집계 결과 KT로 30만1528명, LG유플러스로 24만6585명이 이동했다. 유심 교체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SKT의 영업 정지가 조만간 해제될 것이란 전망도 보조금 경쟁을 부추겼다. SKT가 정상 영업에 돌입하기 전 최대한 많은 고객을 확보하려는 경쟁사들의 조바심이 시장 과열로 이어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SKT의 영업재개가 점쳐지자 불법 보조금 살포가 더 가열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SKT 해킹 사태를 이용한 경쟁사의 시장 과열 행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방통위는 이미 통신사들에 법 준수를 경고했으며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30일까지 실태 점검을 진행 중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현재도 단통법은 유효하며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이라며 "현장 점검 결과에 따라 필요 시 사실조사로 전환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SKT의 영업 정상화가 임박하면서 통신사 간 가입자 유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에 따른 방통위의 후속 조치에 시장의 이목이 쏠린다.
2025-06-14 11:46:2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내 최대'가 '국내 최다 하자'로… 흔들리는 현대건설의 신뢰
2
SKT 해킹 피해, 내 정보는...오늘부터 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
3
美 통상압력에 볼모가 된 '온플법'…빅테크 규제 공약, 모두 '올스톱'
4
퓨리오사AI, 1700억 투자 유치로 유니콘 등극…'탈엔비디아' 속도
5
국가인공지능위원회 2기 내달 출범...민간 전문가 중심 'AI 컨트롤타워'로
6
LG엔솔 '무음극 전지' 개발 순항...상용화는 언제?
7
은행계 캐피탈, 올 상반기 KB·신한·우리·하나 '줄줄이 적자'…PF 부실에 발목
8
LG엔솔, 中기업 상대 특허침해소 승소했지만..."글로벌 대응 체계 강화 시급"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