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8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1.75%에서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기준금리는 2016년 6월 0.25%포인트 내린 1.25%로 결정된 이후 3년 1개월 만에 내렸다. 그동안 기준금리는 2017년 11월과 지난해 11월에 0.25%포인트씩 올랐다.
이날 기준금리 인하는 시장의 예상을 깬 전격적인 조치다. 한은 안팎에선 기준금리 인하 시기로 다음달 30일을 유력시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3∼8일 채권 관련 종사자 2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0%가 동결로 답했다. 인하 응답률은 30%였다.
금리인하 시기가 예상보다 앞당겨진 것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당초 전망을 크게 밑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은은 지난 4월 올해 성장률을 2.5%로 전망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 발표될 수정 전망치는 2% 초반, 또는 2% 가까운 수준으로 대폭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
1분기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 반등 효과도 기대에 못 미쳤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기준금리를 계속 동결하기에는 성장 둔화가 심각하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 수출을 막은 것도 금리인하 요인으로 꼽힌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반도체 등 주력산업이 타격을 입고, 한일 갈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지자 한은도 금리인하로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말 금리를 내릴 것이 확실시되면서 한은의 금리인하 부담을 덜어준 측면도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0일 의회에서 이달 말 금리인하를 강력히 시사했다. 한은이 연준의 금리인하를 미리 반영해 금리를 내린 것으로도 해석된다.
시장 일각에선 금리인하가 이번 한 차례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경기 상황에 따라 11월 말 금통위에서 0.25%포인트 더 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금리를 섣불리 더 내렸다간 경기대응 여력이 바닥날 수 있다는 우려, 최근 집값의 불안 조짐 등에 따른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