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 취임 이틀째인 9일 현재 금감원 내 15명 임원 중 사의를 공식적으로 표명한 인사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원장 취임에 따른 후속 임원 인사에 주목하는 이유는 금감원이 민간 금융감독 기관이지만 업무 특성을 고려하면 사실상 공무원 조직과 큰 차이가 없는 점에서 연공서열 인사 관례가 깨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직제상 이 원장 바로 아래 직급의 이찬우 수석부원장은 1966년생으로 이 원장 보다 6살 많고, 나머지 3명 부원장들도 1964~1966년생이다. 10명의 부원장보 역시 1965년생부터 1968년생들이 꿰차고 있다. 올해 1월 부임한 김기영 감사 역시 1967년생이다.
감사원 공직감찰본부장직에서 금감원으로 이동한 김 감사의 경우 금융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지 6개월째 밖에 되지 않아 또다시 이직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이에 비해 이 수석부원장을 포함한 다른 14명 임원들과 관련해 금감원에서는 잔류냐, 사퇴냐를 놓고 눈치싸움을 하고 있다는 설(說)이 나오고 있다.
직전 원장인 정은보 전 원장도 1961년인 것을 감안하면 젊은 축에 속하는 이 원장 발탁과 연계한 조직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이 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강한 신뢰를 받고 자리에 오른만큼 이 원장이 그리는 강경 기조에 호흡 맞출 임원 및 부서 구성의 공산도 커졌다.
일각에서 윤 대통령의 '검찰 공화국' 청사진을 겨냥한 지적들이 잇따르지만 전날 "(이 원장은) 금감원과 협업 경험이 많은 사람이고 금융감독·규제, 시장 조사 전문가이기 때문에 아주 적임자"라고 한 윤 대통령 발언은 이 원장에게 충분한 힘을 실어줬다는 업계 평이 주를 이루고 있다.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감사를 제외한 다른 임원 인사 권한은 원장이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 원장 결정에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임원들도 섣불리 사퇴를 결정하지는 않을 것 같은 기류로, 법조 전문가가 온 상황에서 산적한 금융권 법적 문제들에 집중하는 모습이 포착된다"고 전했다.
한편 2019년부터 불거져 막대한 투자 피해를 야기하며 금융권 뇌관으로 불리는 라임·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 이 원장은 취임 직후부터 재조사 의지를 다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취임과 동시에 금융범죄합동수사단을 부활시킨 점도 이 원장이 그릴 금융감독 행정 밑그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