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은 통상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 수준에 맞추는 전략을 뜻한다. 기존에 배출해온 탄소량을 감축하려는 노력과 함께 이미 배출된 대기 속 탄소를 포집하고 제거해서 합산 탄소량을 제로 수준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탄소포집·활용(CCU) 기술이 주목 받는 이유다. CCU는 산업체나 발전소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가스전이나 석탄층 등에 저장하고 이를 고부가가치 제품 등으로 바꾸는 기술이다.
RE100에 가입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재생에너지 100)'의 약자로, 2050년까지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 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제 캠페인이다.
통상 탄소중립에는 GHG 프로토콜(온실가스 회계 처리 및 보고 기준)에서 정의한 스코프(scop) 개념을 들어 탄소 배출을 분류, 관리한다. 스코프1은 기업이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배출하는 탄소량을 뜻한다. 공장을 가동할 때 나오는 매연이나 화학물질 등이 대표적인 예다.
스코프2는 직접 배출 개념인 스코프1과 달리 간접적인 탄소 배출을 뜻한다. 기업이 활용하고 있는 냉난방으로 인해 발생한 온실가스 등이 스코프2에 속한다. 스코프3은 소유 자산을 제외한 간접 배출을 뜻한다. 협력사 등 해당 기업 이외에서 배출하는 탄소량과 온실가스 등이 스코프3에 포함된다.
스코프3 부문을 관리하기 어렵다는 얘기가 나오는 배경이다. 스코프1과 스코프2는 그나마 태양열 등 대체 에너지를 활용해 기업이 스스로 탄소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지만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들 상황까지 일일이 챙기기 어려운 탓이다.
특히 저마다 영위하고 있는 산업군이 다른 데 비해 평가 기준이 일괄 적용되다 보니 중후장대 사업 등 일부 현장에서는 무척 난감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게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조 특성상 화학물질을 배출할 수밖에 없는데 탄소중립 목표를 무리하게 맞추려다 보니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다"라며 "이런 상황에 협력사 탄소 배출량까지 감시하기도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제조업 기반의 한국 경제를 지탱하려면 탄소중립 목표를 현실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기업의 공급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직적인 노동시장으로 인해 생산성이 약화되고 잠재성장률이 저하되고 있어 국내 경제의 공급 비용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라며 "탄소 중립에 따른 탄소 배출 저감 정책 등에 따라 관련 비용 부담까지 떠안고 있는 만큼 이런 비용을 상쇄할 수 있는 기술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잠재적인 아웃풋을 늘릴 수 있게 해줘야 한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