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당뇨치료제에서 출발한 유명 비만약들이 다양한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일부 비만약의 경우 장기투여시 갑상선암, 담낭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비만 치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삭센다와 위고비, 마운자로는 모두 당뇨치료제에서 출발했다.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질병이다. 따라서 인슐린의 작용 과정이나 분비에 문제가 생긴 경우가 많기에 이를 기반으로 당뇨약 개발에 나섰다.
이들은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유사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GLP-1은 인체에 인슐린을 분비시키는 호르몬 중 하나다. 그러나 체내에서 매우 짧은 시간만 작용하고 분해되기에 작용시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됐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만든 GLP-1은 체내에서 분해돼 효과를 내지 못했고 GLP-1의 유사체를 만들어 임상을 이어갔다.
당뇨 임상시험 중 GLP-1 유사체가 체중 감량을 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오며 다이어트 목적으로 치료 범위가 확대됐다.
GLP-1 유사체가 체중을 줄이는 기전은 식욕감퇴, 위장관 운동 저하, 인슐린 분비 촉진, 췌장 베타 세포 보호 등이 있다. 즉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해 포만감을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하고 칼로리 소비도 촉진한다는 기전으로 비만치료제 시장에 자리잡았다.
치료제로 허가 받았기에 부작용은 다른 약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비만치료제에도 부작용은 있다. 비만치료제는 보험이 되지 않아 가격 부담이 커 온라인 불법 거래도 성행하고 있기에 더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갑상선수질암 진단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다발성내분비선종증을 앓은 사람은 삭센다를 투여할 수 없다. 동물 실험 결과 삭센다의 투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갑상선암의 확률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병원 관계자는 "삭센다는 항정신성 계열 비만치료제가 아니지만 투여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며 "투약 전 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추천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비만치료제는 당뇨병 약에서 출발했지만 인슐린 제제를 투여 중인 2형 당뇨 환자(인슐린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경우)는 투여에 유의해야 한다. 인슐린 과분비로 저혈당에 걸릴 수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