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5˚C
맑음 부산 12˚C
맑음 대구 10˚C
흐림 인천 5˚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7˚C
흐림 울산 9˚C
흐림 강릉 7˚C
흐림 제주 11˚C
생활경제

쿠팡 '와우 멤버십' 구독료 인상에도 이용자 더 늘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아령 기자
2024-09-04 18:13:45
쿠팡 배송 차량 모습 사진쿠팡
쿠팡 배송 차량 모습 [사진=쿠팡]

[이코노믹데일리] 쿠팡이 지난달 유료 멤버십 ‘와우’ 서비스의 요금을 인상한 가운데 월간 이용자 수가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쿠팡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3183만4746명으로 전월대비 0.5% 늘었다.
 
앞서 쿠팡은 지난달 7일부터 와우 멤버십 구독료를 기존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올렸다. 약 58%가량의 인상률이다.
 
쿠팡을 탈퇴하는 고객들이 일부 있을 것으로 내다봤지만 정작 이용자 수가 더 늘어난 모습이다.
 
쿠팡의 와우멤버십은 로켓배송(익일 새벽배송)과 무료 반품 서비스,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인 쿠팡플레이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유료 멤버십 서비스다.
 
지난해 말 기준 와우멤버십 회원은 1400만명으로 집계됐다. 현재 국내 인구가 5175만명인 점을 고려하면 4명 중에 한 명 꼴로 쿠팡 유료 회원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쿠팡의 유료 멤버십 고객 이탈이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쿠팡의 최대 강점인 무제한 무료 배송·반품 서비스를 뛰어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이유에서다.

기존 고객들이 급하게 기저귀나 학용품 등이 필요할 때 1000원짜리라도 다음 날 새벽에 받아볼 수 있는 로켓배송의 편리함을 쉽사리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점점 늘어나는 1인가구와 맞벌이 가구에게 빠른 배송은 큰 매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쿠팡 자회사 배달 플랫폼인 ‘쿠팡이츠’도 선전하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달 배달의민족(배민), 쿠팡이츠, 요기요, 땡겨요, 배달특급 중 쿠팡이츠의 점유율은 22.7%를 기록했다.
 
작년 5월까지 10%대에 머물던 쿠팡이츠 점유율은 쿠팡 와우회원 무료배달 시작 이후인 지난 4월 두 배로 늘어난 뒤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배민의 점유율은 2022년 9월 처음 60%를 넘은 뒤 61∼62%대를 유지하다가 지난 4월(60.5%), 5월(60.0%)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이후 6월 59.2%를 기록하며 2년 만에 60% 아래로 떨어졌다. 7월(59.4%) 소폭 반등했지만, 지난달(58.7%) 다시 하락했다.
 
출혈 경쟁을 버티다 지난 3월 쿠팡이츠에게 2위 자리를 내주고 회사 설립 후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할만큼 위기에 몰린 요기요의 점유율은 작년 6월부터 꾸준히 하락해 지난달에는 15.1%를 기록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하이닉스
교촌
신한투자증권
스마일게이트
SC제일은행
kb금융그룹
db
DB손해보험
우리은행
씨티
NH투자증
포스코
삼성증권
한화투자증권
신한은행
삼성화재
한화
하나금융그룹
삼성전자
KB국민은행
한국투자증권
카카오
경주시
롯데캐슬
신한금융지주
NH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