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경제 인사이트] 인공지능 시대 中 증권사의 생존 전략...인간-AI 협업 서비스 모델 구축해야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7.17 목요일
서울 23˚C
흐림 부산 25˚C
대구 24˚C
인천 23˚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22˚C
강릉 24˚C
흐림 제주 30˚C
신화통신

[경제 인사이트] 인공지능 시대 中 증권사의 생존 전략...인간-AI 협업 서비스 모델 구축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赵中昊,苏阳,张豪夫
2025-02-16 12:37:05

(베이징=신화통신) 최근 중국의 다수 증권사가 잇달아 딥시크(DeepSeek·深度求索) 플랫폼 도입을 발표했다.

업계 내에선 핀테크가 재산관리 분야에 깊숙이 파고든 지금 인공지능(AI) 스마트 투자컨설팅이 서비스의 보혜(普惠·보편적 혜택)화, 의사결정의 데이터화, 솔루션의 제정화 등을 통해 증권업계의 가치 사슬 재편을 촉진한다고 보고 있다. 기존 증권사들이 빠른 기술의 변혁, 고객 행위의 디지털화, 인터넷 플랫폼의 크로스보더 경쟁 등 다차원적 도전에 맞서 전환의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주식 투자자들이 지난해 10월 8일 장쑤(江蘇)성 난징(南京)시의 한 증권영업소에서 증시 전광판을 응시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투자컨설팅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응용이 이뤄지면서 인터넷 플랫폼과 핀테크기업은 더 낮은 비용과 더 높은 효율로 롱테일 시장을 레이아웃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스마트 컨설팅은 전문적인 금융 연구∙판단 및 복잡한 상황에서의 의사 결정이 필요할 경우 여전히 인간에게 의존하고 있다면서 증권사 입장에선 장기적으로 축적해 온 고객 서비스 경험을 기반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정확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궈하이(國海)증권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인터넷 플랫폼은 트래픽 우위를 이용해 롱테일 고객과 빠르게 '접촉'하고 도구형 투자컨설팅처럼 낮은 객단가(고객 1인당 평균매입액) 상품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

화둥(華東)증권사 관계자는 롱테일 고객 규모가 방대해 기존의 투자컨설팅 서비스로는 완전히 커버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증권사는 AI 기술을 이용해 서비스의 반경과 깊이를 확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AI 투자컨설턴트가 고객의 투자 수준과 성향에 맞춰 소액 투자자에게도 자신에게 부합하는 투자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궈하이증권은 스마트화 전환으로 자산관리 서비스 모델이 재편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AI를 통한 투자컨설팅 전략 생성과 고객 프로파일 분석으로 서비스 반경을 1인당 20명에서 수백 명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한계 비용을 낮추고 객단가를 내려 더 많은 고객층을 커버할 수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11월 27일 '제2회 중국국제공급사슬엑스포(CISCE)' 주빈성(省) 후베이(湖北) 전시부스에서 촬영한 칩 제품. (사진/신화통신)

궈하이증권은 인터넷 플랫폼이 트래픽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위를 지녔지만 증권사의 ▷계좌 관리 우위 ▷ 투자리서치 우위 ▷기관 협업 우위는 대체 불가능하다고 짚었다.

"AI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궈하이증권 관계자는 AI가 하나의 도구로서 투자 연구 효율을 높여 투자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대형 상장증권사의 비즈니스 사업 책임자는 600만 위안(약 11억8천800만원) 이상의 고액자산가들 대부분이 강력한 주관적인 주도성과 시장 판단력을 가지고 있다면서 이들은 AI 투자컨설팅처럼 시장의 장기적 검증을 거치지 않은 서비스에 대해 비교적 낮은 신뢰도를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기서 전문 컨설턴트가 '휴먼 인 더 루프(human-in-the-loop, 자동화·자율화된 기계나 시스템 일부에 인간의 판단이나 제어를 개입시키는 것)' 방식을 통한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화둥증권사 직원은 AI 물결 속에서 증권사는 프로 투자컨설턴트와 AI를 상호보완한 서비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AI는 표준화, 높은 빈도의 데이터 처리, 기초 서비스를 책임지고 투자컨설턴트는 고액자산가의 수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투명한 AI 의사결정, 규정 준수 강화를 통해 AI에 대한 고액자산가 고객의 신뢰를 착실히 쌓아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AI가 투자컨설팅 서비스의 문턱을 낮췄다면서 이는 매수자 중심 투자컨설팅의 규모화 실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진단했다. 다만 매수자 중심 투자컨설팅의 핵심은 고객과 장기적인 신뢰 관계를 수립하는 데 있다면서 투자컨설턴트와 고객 간의 심층 서비스, 감정 공감, 가치관 전달은 알고리즘이 모방할 수 없으므로 '인간과 AI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롯데카드
NH농협
한국투자증권
CJ
DB그룹
삼성증권
LG
e편한세상
KB국민은행_4
KB
농협
이마트_데일리동방
삼성
대신
kb
롯데건설
KB국민은행_1
sk네트웍스
KB국민은행_3
메리츠증권
우리은행_1
셀트론
SK
하나금융그룹
동아쏘시오홀딩스
하나증권
위메이드
LG
LG생활건강
쿠팡
미래에셋자산운용
NH투자증
kb_3
kb_5
SK하이닉스
빙그레
우리은행_2
kb증권
KB손해보험
sk
KB_1
kb_2
KB국민은행_2
우리카드
신한라이프
kb_4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