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위원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진행된 이코노믹데일리 '2025 제약바이오 포럼'에서 축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박 위원장은 "한국은 지금 제약 바이오 산업에서 전 세계 12위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며 "AI시대의 기술혁신적 발전은 신약개발 분야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보건의료 산업에도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전했다.
AI를 통한 개발 비용 효율화에 대한 기대감도 보였다. 박 위원장은 "AI 기반 경구용 비만치료 물질 발굴, 신약개발 혁신 플랫폼 개발 등은 우리 보건의료계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중요한 기술이라고 생각된다"며 "개발 기간 단축과 비용 효율화, 그리고 보다 정밀한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혁신 기술의 발전을 위한 정치권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으로서, 저는 이와 같은 혁신 기술들이 국민 건강 증진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기대하며, 관련 법·제도 개선 및 예산 지원 등을 통해 AI 기반 신약개발 분야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오늘 이 자리에 모인 보건의료의 각 전문가분들의 지혜를 모아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국민 복지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