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월요일
흐림 서울 7˚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9˚C
흐림 인천 6˚C
구름 광주 4˚C
흐림 대전 5˚C
흐림 울산 5˚C
흐림 강릉 7˚C
맑음 제주 8˚C
산업

[임효진의 철두철미] 철강 한파에 멈춘 가동…현대제철, 인천 철근공장 첫 셧다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효진 기자
2025-03-29 06:00:00

중국 저가 공세·미국 관세 겹쳐…공급 과잉·수출 악화

이미 비상경영 돌입…희망퇴직·임원 급여 삭감 등 단행

현대제철 전기로에서 생산한 탄소저감형 철근 사진현대제철
현대제철 전기로에서 생산한 탄소저감형 철근 [사진=현대제철]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철강업계가 심각한 과잉 공급과 수요 부진으로 위기를 겪는 가운데 현대제철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철근 생산 공장 가동을 멈춘다. 철근 수요가 IMF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데다 중국산 저가 공세까지 겹치면서 현대제철이 극단적인 감산 조치를 단행했다는 평가다.

현대제철은 다음달 한 달간 인천공장 내 철근 생산 전 라인을 셧다운하기로 했다. 인천공장은 연간 150만t의 철근을 생산하는 국내 최대 봉형강 제조 시설 중 하나다. 봉형강은 건설, 기계, 자동차 등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로 이번 조치는 현대제철 창사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국내 철강 수요는 최근 수십 년 내 최저 수준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철근 수요는 전년 대비 약 20% 감소한 798만t으로 이는 1998년 외환위기 당시 수치(774만t)와 맞먹는다. 여기에 미국의 철강 관세 시행까지 겹치며 수출 여건도 악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리 시간으로 지난 12일부터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현대제철은 일시 셧다운으로 단기 공급 과잉을 완화하는 한편 철근 재고가 감소할 때까지 감산 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의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재고자산은 1568억8000만원 감소해 전년(6183억2000만원 감소) 대비 감소 폭이 크게 줄었다. 재고소진이 둔화되면서 현금 흐름도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현대제철은 매출이 전년 대비 10.4% 줄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60.6%, 72.2% 감소하며 실적 타격을 입었다. 이에 따라 현대제철은 이미 인건비 절감을 위해 포항공장 기술직 희망퇴직을 받고 있으며 임원 급여를 20% 삭감하는 등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저가 공세와 국내 건설 경기 위축이 겹치면서 철강업계 전반이 극심한 구조조정 압박에 놓여 있다”며 “현대제철의 이번 감산은 고육지책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하나증권
NH농협
미래에셋
동국제약
메리츠증권
일동제약
현대백화점
농협
넷마블
국민은행
한화손해보험
smilegate
하나금융그룹
한국콜마
KB
kb증권
올리브영
신한라이프
청정원
우리WON
SK하이닉스
우리카드
LG에너지솔루션
보령
경남은행
신한은행
부영그룹
미래에셋자산운용
우리은행_1
기업은행
우리은행_2
신한금융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