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요일
흐림 서울 16˚C
흐림 부산 16˚C
흐림 대구 18˚C
흐림 인천 15˚C
흐림 광주 18˚C
흐림 대전 18˚C
흐림 울산 17˚C
흐림 강릉 17˚C
흐림 제주 20˚C
IT

방통위, AI 이용자 보호 민관 협의회 개최…"혁신·보호 균형 정책 필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5-15 18:26:44

"AI 역기능 막고 혁신 지원"…이용자 보호 정책 마련 속도

딥페이크·환각현상 어쩌나… AI 이용자 보호 해법 찾는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앞줄 왼쪽에서 다섯번째이 15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제3차 인공지능서비스 이용자 보호 민관협의회에서 이원우 민관협의회 위원장앞줄 왼쪽에서 네번째 등 위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방통위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앞줄 왼쪽에서 다섯번째)이 15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제3차 인공지능서비스 이용자 보호 민관협의회'에서 이원우 민관협의회 위원장(앞줄 왼쪽에서 네번째) 등 위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방통위]

[이코노믹데일리]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15일 인공지능(AI) 서비스 이용자 보호를 위한 민관 협의회 3차 회의를 열고 AI 기술 고도화와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자 보호 문제 및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는 정보통신기술(ICT)·법률·미디어·통계 관련 학계와 법조계 전문가 시민사회단체 통신사·인터넷 기업 등 사업자 정부·공공기관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방통위는 지난해 7월 AI 기술 발전에 따른 이용자 보호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협의회를 구성한 바 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은 "AI 산업의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AI 혁신과 발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새롭게 등장하는 역기능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관협의회 위원장인 이원우 서울대 교수는 "인공지능 확산으로 통신 서비스 행태와 이용 방식이 변화하며 기존 이용자 보호를 위해 마련됐던 규율 체계나 정책 접근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게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조 발표를 맡은 선지원 한양대 교수는 'AI 서비스 확산에서 온라인 불법·유해 정보 규율 및 이용자 권익 증진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며 이전과 다른 차원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선 교수는 기존 플랫폼 서비스와 다른 인공지능 서비스의 특징으로 성적 허위 영상물 등 딥페이크 환각현상 등 새로운 역기능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역동적인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진숙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제안된 의견을 면밀히 살펴 정책에 반영해 나가고 이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활용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방통위는 이번 민관 협의회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AI 시대에 부합하는 이용자 보호 정책 수립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NH투자증
DB손해보험
하나금융그룹
신한금융지주
우리은행_2
한화
DL이엔씨
국민은행
jw
DB그룹
대원제약
우리은행_1
종근당
신한은행
국민카드
NH
SK하이닉스
KB증권
국민은행
미래에셋
LX
메리츠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