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야심 차게 발표했던 5000억 달러(약 690조원) 규모의 인공지능(AI) 투자 사업이 시작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오라클이 손잡고 추진하는 이 프로젝트는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데이터센터 건설 계약을 한 건도 체결하지 못했으며 단기 사업 계획도 대폭 축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시간) 이 사업을 위해 설립된 합작사 '스타게이트'가 연말까지 미국 오하이오주에 소규모 데이터센터 1곳을 짓는 것으로 목표를 수정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3사는 올해 1000억 달러를 시작으로 2029년까지 총 5000억 달러를 투자해 중국을 제치고 AI 산업의 지배적 입지를 확보하겠다고 공언했으나 현실은 초라한 셈이다.
프로젝트가 삐걱대는 배경에는 오픈AI와 소프트뱅크 간의 미묘한 갈등이 자리 잡고 있다. WSJ에 따르면 양측은 소프트뱅크 자회사 관련 부지에 데이터센터를 얼마나 건설할지를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오픈AI가 소프트뱅크가 투자하지 않은 다른 데이터센터 사업에도 '스타게이트' 상표를 사용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의 독자적인 행보도 눈에 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차세대 AI 모델에 필요한 막대한 연산력을 서둘러 확보하기 위해 소프트뱅크 외에 오라클, 코어위브 등 다른 기업들과도 별도의 데이터센터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는 파트너인 소프트뱅크를 기다리기보다 독자적으로 컴퓨팅 자원 확보에 나선 것으로 양사의 '동상이몽'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오픈AI와 소프트뱅크는 사업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양사는 공동성명을 내고 여러 주에서 프로젝트가 진척되고 있다고 밝혔으나 프로젝트 초기 파트너로 지목됐던 오라클은 아직 투자 규모조차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사업의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