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요일
맑음 서울 27˚C
부산 22˚C
대구 25˚C
흐림 인천 27˚C
광주 22˚C
대전 25˚C
울산 23˚C
흐림 강릉 24˚C
제주 29˚C
IT

KAIST·삼성 연합팀, 美 DARPA 주관 AI 사이버보안 대회 최종 우승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8-09 14:04:58

韓 연합팀, 세계 최고 해킹대회 정복 '쾌거'

상금만 55억…미국 꺾고 우승한 한국팀 정체

팀 애틀앤타 단체사진 사진KAIST
팀 애틀앤타 단체사진 [사진=KAIST]

[이코노믹데일리] 한국 연구진이 주축이 된 연합팀이 세계 최고 권위의 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 대회에서 정상에 올랐다. 이번 쾌거로 한국의 AI 기반 사이버보안 기술력이 세계 최정상 수준임을 입증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9일 삼성리서치, 포항공대(POSTECH), 미국 조지아공대와 함께 구성한 '팀 애틀랜타'가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주관 'AI 사이버 챌린지(AIxCC)'에서 최종 우승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의 결선은 세계 최대 해킹 콘퍼런스인 '데프콘 33(DEF CON 33)' 현장에서 치러졌다.

AIxCC는 인간 해커가 아닌 AI 시스템이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자동으로 찾아내고 즉시 수정하는 능력을 겨루는 대회다. 팀 애틀랜타는 다양한 유형의 취약점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실시간으로 패치하는 데 성공하며 압도적인 기술력을 과시했다. 총점 392.76점을 기록해 2위 팀을 170점 이상의 큰 차이로 따돌렸다. 우승 상금은 400만 달러(약 55억 원)에 달한다.

우승의 주역인 팀 애틀랜타는 김태수 조지아텍 교수가 팀을 총괄하고 윤인수 KAIST 교수, 한형석 삼성리서치 팀 리드, 박상돈 포항공대 교수 등이 핵심 역할을 수행한 한미 연합팀이다. 한편 4년 연속 우승을 노렸던 한국의 또 다른 강팀 ‘티오리’는 3위에 오르며 한국 사이버 보안의 높은 위상을 재확인했다.

이번 대회에서 입증된 AI 기반 사이버 추론 시스템(CRS) 기술은 향후 오픈소스로 공개된다. 병원, 수도, 전력 등 국가 핵심 기반 시설의 보안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윤인수 KAIST 교수는 "KAIST를 비롯한 한국의 사이버 보안 연구가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쾌거"라며 "앞으로도 AI와 보안 기술의 융합을 통해 국가와 글로벌 사회의 디지털 안전을 지키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팀 애틀랜타 우승 사진KAIST
팀 애틀랜타 우승 [사진=KAIST]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미래에셋자산운용
kb_3
국민카드
한미그룹
하나금융그룹
한화
SK증권
종근당
넷마블
kb_2
여신금융협회
신한은행
신한투자증권
우리은행_2
롯데
농협
메리츠증권
kb
우리은행_1
삼성자산운용
KB_1
농협
신한금융
KB
부영그룹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