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차이나 트렌드] 기초연구도 인재도 탄탄...中, 지난 5년간 과학기술 혁신 '성적표' 대공개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11.10 월요일
맑음 서울 5˚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8˚C
맑음 광주 8˚C
맑음 대전 7˚C
맑음 울산 8˚C
맑음 강릉 7˚C
흐림 제주 15˚C
신화통신

[차이나 트렌드] 기초연구도 인재도 탄탄...中, 지난 5년간 과학기술 혁신 '성적표' 대공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胡喆,魏梦佳,杜子璇,王全超
2025-09-20 09:50:56

(베이징=신화통신) 연구개발 인력 규모 세계 1위부터 국가 종합 혁신력 10위 등극에 이르기까지...중국이 '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 기간 이룬 과학기술 혁신 발전 성과가 최근 발표됐다.

5일 '2025 세계 스마트 산업 박람회'에서 전동수직이착륙기(eVTOL)를 구경하는 관람객. (사진/신화통신)

◇"혁신형 국가로!" 정부 차원의 전략적 목표 설정

중국공산당 제18차 당대회 이후 당 중앙은 '혁신형 국가 건설 가속화'를 전략적 과제로 제시하고 오는 2035년까지 과학기술 강국을 건설한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그 결과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순항, 달 탐사선 창어(嫦娥)의 달 탐사, 전 세계를 누비는 신에너지 자동차, 수많은 가정을 밝히는 4세대 원자력 발전소 등 다양한 성과를 이뤘다. 지난 5년간 중국의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이 자립·자강을 실현하고, 세계 과학기술 강국 건설을 위한 튼튼한 기반을 다졌다고 평가되는 이유다.

◇지난 5년, 중국이 이룬 네 가지 성과

지난 5년간 중국이 이룬 성과는 크게 ▷생산력 ▷기초연구 ▷청년 인재 ▷상용화 등 네 가지로 나뉜다.

우선 생산력에 '새로운 엔진'이 생기면서 도로 위 신에너지차가 늘었다. 또 인공지능(AI) 응용으로 첨단기술이 신제품 및 신산업으로 전환돼 신질생산력 육성의 중요한 버팀목이 됐다.

혁신의 밑바탕인 기초연구도 강화됐다. 중국의 고인용 논문(Highly Cited Papers, 분야별 피인용 횟수 상위 1%에 해당) 수는 세계의 약 3분의 1을 차지해 4년 연속 세계 2위 자리를 유지했다.

청년 과학 인재의 활약도 돋보인다. '14차 5개년' 기간 국가 중점 연구 개발 프로젝트를 이끈 인재 가운데 45세 이하 연령대 비율이 43.3%를 기록했다. 특히 청년 과학자가 국가자연과학기금의 프로젝트 80%를 담당한 것으로 집계됐다.

혁신 성과의 '라스트 마일'인 상용화도 활발히 이뤄졌다. 전국 기술 계약 성사액은 수년간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가 지난 2024년 6조8천억 위안(약 1천326조원)에 달했다. 직무 과학기술 성과 권한 부여 등 시범 개혁을 통해 더 많은 성과가 '실험실'을 넘어 '생산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DB손해보험
kb금융그룹
스마일게이트
NH
한화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롯데캐슬
삼성화재
한화
경주시
포스코
SC제일은행
씨티
NH투자증
교촌
신한금융지주
삼성전자
카카오
삼성증권
하나금융그룹
db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이닉스
한국투자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