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요일
서울 17˚C
흐림 부산 24˚C
흐림 대구 22˚C
인천 18˚C
흐림 광주 25˚C
대전 23˚C
흐림 울산 23˚C
강릉 15˚C
흐림 제주 28˚C
IT

[국정자원 화재] 화재 2주…복구율 36.7% '더딘 정상화'에 속 타는 국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10-13 11:01:01

'안전·보안·신뢰' 외친 정부, 복구율 37%

아직도 449개 먹통…데이터센터 화재 2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인한 ‘디지털 재난’ 사태가 2주째 이어지고 있지만 전체 시스템 복구율은 여전히 30%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가 뒤늦게 ‘안전·보안·신뢰’의 3대 원칙을 내세우며 총력 대응을 약속했지만 초동 대응 실패와 근본적인 재난 대비 체계의 부실이 더딘 복구의 원인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오전 9시 기준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709개 정보시스템 중 260개가 복구돼 복구율 36.7%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화재 발생일인 지난달 30일 이후 14일 만의 성적표다. 

그나마 국민 생활과 직결된 1등급 시스템은 75%(40개 중 30개)가 복구돼 우체국 쇼핑, 나라장터 쇼핑몰 등은 정상화됐다. 하지만 여전히 449개의 시스템은 작동 불능 상태로 완전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복구가 더딘 근본적인 원인은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의 피해가 예상보다 심각하고 시스템 간 상호 연계성이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화재 진원지인 7-1 전산실은 장비가 완전히 소실돼 공주 백업센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규 장비에 시스템을 재설치해야 하는 상황이다. 인접한 7, 8 전산실 역시 분진과 연기 피해로 복구 작업이 지연돼 전체 시스템 정상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8전산실 전기 공급이 재개돼 복구에 속도를 내야 할 때"라며 "복구 작업 과정에서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전력 공급·장비 가동·전산실 작업 등 모든 단계에서 위험 요인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복구 과정에서 단 한 건의 보안 사고도 발생해서는 안 된다"며 뒤늦게 보안 강화를 주문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약속은 ‘사후약방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가 핵심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설에서 발생한 화재 하나가 700개가 넘는 시스템을 마비시킨 것 자체가 재난 대비 체계의 총체적 부실을 드러낸다. 특히 정부가 지난주에야 장애 시스템 수를 709개로 정정 발표한 점은 사태 초기 피해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음을 시인한 셈이다.

윤 장관은 "복구 현황과 향후 계획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언제까지 모든 시스템이 복구될지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은 제시하지 못했다. 장비 제조사 인력 80명을 추가 투입하는 등 복구 속도를 높이고 있지만 훼손된 장비의 데이터 복구와 신규 장비 도입 및 설치, 시스템 안정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농협
키움증권
KB국민은행_1
농협
롯데케미칼
한화
부영그룹
KB증권
하나카드
하이닉스
KB손해보험
GC녹십자
미래에셋자산운용
롯데카드
삼성화재
쿠팡
빙그레
다올투자증권
포스코
기업은행
신한라이프
LG
KB국민은행_2
부광약품
LG
KB국민은행_4
동아쏘시오홀딩스
신한금융지주
국민카드
삼성증권
바이오로직스
한화
하나증권
신한카드
한국증권금융
신한라이프
kb금융그룹
HD한국조선해양
KB국민은행_3
kb캐피탈
sk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