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 달러(약 19조40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전월(91억5000만 달러)과 지난해 동기(112억9000만 달러)보다 각각 43억2000만 달러, 21억8000만 달러 늘어 월별 경상수지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9월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이에 따라 2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기록이다.
상품수지 흑자 규모(142억4000만 달러)는 역대 9월 중 2017년(145억2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9월 수출(672억7000만 달러)은 전년 동기보다 9.6% 증가했다. 전월(564억4000만 달러)보다도 63억 달러 이상 늘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22.1%)·승용차(14.0%)·화학공업제품(10.4%)·기계류정밀기기(10.3%)·무선통신기기(5.3%) 등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반대로 컴퓨터주변기기(-13.5%)는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1.9%)·EU(19.3%)·일본(3.2%) 등에서 늘었고, 미국(-1.4%)에서 줄었다.
9월 수입(530억2000만 달러)은 지난해 같은 기간(507억3000만 달러)보다 4.5% 증가했다.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원유(-13.3%)·석유제품(-9.8%)·화학공업제품(10.2%)·가스(2.4%) 등 원자재 수입 증가율은 0.4%에 수준이었다.
다만 국내 소비 회복과 영업일수 증가 등으로 정보통신기기(29.9%)·수송장비(24.4%)·반도체제조장비(11.6%) 등 자본재 수입이 12.2% 늘었고, 승용차(36.3%) 등 소비재 증가율도 22.1%나 크게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33억2000만 달러 적자로 나타났다. 적자 폭은 전월(-21억2000만 달러)과 전년 동기(-21억 달러)보다 커졌다.
서비스수지에서 여행수지 적자(-9억1000만 달러)는 전월(-10억7000만 달러)대비 줄었지만, 운송수지(-1억2000만 달러)에서 5개월 만에 적자 전환했다. 8월 대비 사용료 수입이 줄면서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적자 폭(-8억5000만 달러)도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9억6000만 달러)는 전월(20억7000만 달러)과 비교해 약 9억 달러 늘면서 9월 기준으로 역대 2위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9월 중 129억 달러 증가했다. 증가 규모가 전월(78억8000만 달러) 대비 50억2000만 달러 확대됐다.
직접투자액은 38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월(-7억1000만 달러) 대비 흑자 전환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6억6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18억 달러씩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는 21억1000만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11억9000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 역시 주식과 채권을 중심으로 90억8000만 달러 늘었다.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②] SUV부터 세단까지…쏘렌토·텔루라이드·K5까지 3Q 이후에만 리콜 34만대 경신](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5/20251105144959133516_388_136.jpg)



![[증도가자 문화재 지정] ③ 문화재 지정에 걸림돌 되는 고인물은 무엇? 증도가자와 문화 권력의 교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100521666890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