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요일
맑음 서울 7˚C
맑음 부산 9˚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6˚C
흐림 광주 7˚C
흐림 대전 6˚C
맑음 울산 6˚C
맑음 강릉 6˚C
흐림 제주 10˚C
건설

"버려진 모듈러, 새 건물로 재탄생"…M3시스템즈, 순환경제 시대 연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석진 기자
2025-11-19 15:20:50

국내 첫 재사용 모듈러 사무동 완공…"공사비·기간 절반, 성능은 신축급"

M3시스템즈가 경기 이천 본사 공장 부지 내에 재사용 모듈러를 활용한 2층 사무동 전경 사진M3시스템즈
M3시스템즈가 경기 이천 본사 공장 부지 내에 재사용 모듈러를 활용한 2층 사무동 전경 [사진=M3시스템즈]

[이코노믹데일리] 학교에서 쓰다 버린 임시 건물이 최신 사무실로 다시 태어났다. 건설업계에서 오랫동안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모듈러 건축의 재사용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용화 단계에 진입한 것이다.
 

모듈러 건축 전문기업 M3시스템즈는 경기 이천 본사 공장 부지 내에 재사용 모듈러를 활용한 2층 사무동(연면적 169.74㎡)을 완공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학교에서 임대 기간이 끝난 모듈러 4개의 골조와 주요 부재를 그대로 살려 만든 이 건물은 외관상으론 물론 성능 면에서도 신축 건물과 구분이 안 될 정도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 선입견 깬 '재활용 건축'
 

모듈러 건축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박스형 유닛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다. 이론적으론 해체 후 다시 쓸 수 있다는 게 최대 장점이지만, 국내에선 안전성과 품질에 대한 우려로 실제 재사용 사례가 거의 없었다.
 

M3시스템즈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구조 안전성을 전문 구조설계를 통해 재검증하고, 단열 성능도 남부지역 기준이던 것을 중부 1지역 기준으로 대폭 강화했다. 외장은 징크 패널로 새롭게 마감하고, 내부 마감재는 업무공간에 적합한 자재로 전면 교체했다. 창호와 출입문 위치도 실제 사용 동선에 맞춰 재배치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완공된 건물은 외형과 성능 모두 신축 건물 수준을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모듈러는 저가 임시 건물이라는 고정관념이 있었는데, 이번 사례가 그런 선입견을 깨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M3시스템즈가 경기 이천 본사 공장 부지 내에 재사용 모듈러를 활용한 2층 사무동 내부 모습 [사진=M3시스템즈]


◆ "공사비·기간 절반으로 단축 가능"
 

재사용 모듈러의 가장 큰 장점은 경제성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한 양성호 M3시스템즈 제조본부장은 "유사 조건에서 학교용 모듈러를 사무용으로 재구성할 경우, 제조 기간과 비용을 최대 절반 수준까지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탄소 배출 저감 효과도 크다. 신축 대신 기존 구조물을 재활용하면 철골·콘크리트 등 건축 자재 생산과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정부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상황에서 건설업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인한 M3시스템즈 대표는 "재사용 모듈러는 지속가능 건축의 핵심 요소이자 앞으로의 건설 패러다임을 바꿀 중요한 기술"이라며 "이번 실증을 통해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충족한다는 사실을 현장에서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 공공·민간 확산 기대
 

업계에선 이번 성공 사례가 재사용 모듈러 시장의 물꼬를 틀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임대 기간이 정해진 학교, 관공서, 군부대 등 공공부문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M3시스템즈는 향후 다양한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재사용 모듈러의 적용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탄소저감, 건설비 절감, 공기 단축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현실적 솔루션으로 재사용 모듈러를 자리매김시키겠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의 한 전문가는 "유럽에선 이미 모듈러 재사용이 보편화됐지만 국내는 이제 시작 단계"라며 "이번 사례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만큼 공공부문부터 재사용 모듈러 도입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금융그룹
DB손해보험
우리은행
스마일게이트
경주시
한화
SC제일은행
삼성화재
하나금융그룹
NH투자증
NH
롯데캐슬
신한투자증권
씨티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삼성전자
카카오
포스코
KB국민은행
교촌
하이닉스
db
신한은행
신한금융지주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