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주요 시중은행들이 연말을 앞두고 가계대출 취급을 제한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올해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당초 설정된 목표치를 이미 넘어선 데다 수도권 주택시장이 뚜렷한 안정 흐름을 보이지 않으면서 은행권은 조정 조치를 가동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현 상황이 유지될 경우 내년 초에도 대출 심사 기준이 쉽게 완화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올해 들어 지난 20일까지 가계대출 증가액(정책대출 제외)은 7조8953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 당국에 제출한 연간 증가 한도인 5조9493억원을 32.7% 초과한 규모다.
은행별로도 사정은 비슷하다. 4개 은행 모두 자체 설정한 연간 목표를 넘어섰으며, 초과율 역시 은행별로 9.3%에서 최대 59.5%까지 벌어졌다.
대상을 5대 은행으로 넓히면 NH농협은행이 유일하게 가계대출 증가액(1조8000억원)이 목표치(2조1200억원)에 못 미쳐 총량 관리에 여유가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각 은행들은 비상 조치에 들어가며 대출 창구를 속속 닫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2일 비대면 채널에서 올해 실행 예정인 주택 구입 자금용 주택담보대출 신규 접수를 중단했다. 타 은행 대환대출(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과 비대면 신용대출 상품인 ‘KB스타 신용대출Ⅰ·Ⅱ’도 같은 날 접수를 멈췄다. 대면 창구 역시 오는 24일부터 올해 실행분 주택 구입 자금용 주택담보대출을 받지 않는다.
하나은행은 25일부터 올해 실행되는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신규 접수를 제한할 예정이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조만간 가계대출 취급 중단에 동참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신용대출도 증가세가 가팔랐다. 올해 들어 1조3843억원이 늘어나 이달 말까지 기간이 남아 있음에도 2021년 7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과거에는 금융 당국과 협의를 거쳐 새해 총량 관리 목표를 다시 받으면 가계대출의 숨통이 트였지만 강한 부동산 규제 기조가 내년까지 이어질 경우 1~2월 어느 시점에서 규제가 완화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장소영의 오일머니] 14년 전 기름값과는 다르다...알뜰주유소 톺아보기](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21/20251121165252493519_388_136.pn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