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이 최근 논의되고 있는 금산분리 규제 완화에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마지막 수단’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금산분리는 산업과 금융 자본의 건전한 분리를 위한 기본 원칙으로 성급한 완화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 위원장은 지난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산분리 완화와 관련해 “대안이 있다면 먼저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산분리는 대기업 등 산업자본이 금융회사를 사금고화하거나 산업 부실이 금융으로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규제다. 대표적인 사례로 대기업 일반지주회사가 국내 금융·보험사의 주식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한 공정거래법 규정이 있으며 공정위가 이를 주무 부처로 관리하고 있다.
주 위원장은 ‘금산분리 완화가 최후의 카드나 수단이라는 의미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 다른 대안이 있다면 먼저 고려해야 하고 정 다른 방법이 없다면 금산분리 완화를 검토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는 전략 산업 투자와 관련해 △주력 산업 시설투자 △벤처캐피탈 투자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사업 육성 △데이터 인프라 등 네 가지를 주요 축으로 제시했다.
주 위원장은 “이 네 분야 중 어느 곳이 자본시장을 통한 자본 조달에 어려움을 더 많이 겪고 있는지 검증해 정부의 국민성장펀드를 투입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런 큰 그림 속에서 현재 규제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며 “데이터 등 인프라는 대기업도 투자하기 쉽지 않아 분명 국가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주 위원장은 공정위 수장으로서 금산분리 완화에는 원칙적으로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경제력 집중과 독과점 폐해는 여전히 한국 경제의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며 “금융기관을 통한 산업 부문 지배력 확대 문제와 경제력 집중 문제가 상존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 상황에서 금산분리 규제 완화를 추진하려면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