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
-
-
인터넷 접속 장애로 고객 불만 폭발… 통신사들, 보상 방안 고심
이통3사 전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인터넷 접속 장애로 인해 통신사들이 고객 보상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KT와 SK브로드밴드는 피해를 입은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요금 감면 보상을 제시할 계획을 세운 반면, LG유플러스는 보상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지난 5일 오후 5시부터 약 5시간 동안 전국적으로 인터넷과 IPTV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장애의 원인으로 안랩이 데이터센터 방화벽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과다 트래픽 오류를 지목했다. 네트워크 트래픽이 급증하면서, 일부 공유기에 장착된 칩이 트래픽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KT와 SK브로드밴드는 접속 장애를 겪은 고객들에게 요금 감면 보상을 검토하고 있다. 두 통신사는 문제가 된 공유기를 직접 공급한 만큼, 회사의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전기통신사업법 제33조에 따르면, 통신 서비스가 2시간 이상 중단되면 통신사업자는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보상 계획이 없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문제가 된 공유기를 회사에서 공급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고객이 개인적으로 구입해 사용한 경우라면 회사의 책임이라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입장은 고객들의 불만을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인터넷 장애는 통신망 자체가 아닌 일부 공유기에서만 발생한 사례로, 원인 규명에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통신사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시간 비상 체제를 유지하며, 유사한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전문가들과 함께 문제를 조사하고 있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비록 통신사 잘못이 아니더라도, 고객 불편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관련 부처와 협력해 정확한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 규모는 10만 대 미만이다.
2024-09-07 16:43:00
-
-
오픈AI, 미술가들과 협업해 AI 도구 제공… 창작의 새로운 길 열다
오픈AI가 미술가들에게 자사의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도구를 제공하며 예술 창작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6일(현지시간) 보도에서 오픈AI가 뉴욕의 스트라다 갤러리와 협력해 동영상 AI '소라'(Sora) 등 다양한 AI 도구를 활용한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전했다. 이번 전시회는 '스트라다 누오바: 새로운 길'(Strada Nuova: New Road)이라는 이름으로, 3주 동안 진행된다. 스트라다 갤러리의 설립자인 폴 힐은 약 6개월 전 오픈AI에 프로젝트를 제안했고, 이후 준비 과정을 거쳐 전시회를 열게 되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미술가들에게 동영상 생성기 '소라', 음성 생성기 '보이스 엔진', 이미지 생성기 '달리3'(DALL-E 3), 챗봇 '챗GPT' 등 다양한 AI 도구를 제공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도구의 사용법에 대한 교육 자원도 함께 지원했다. 이를 통해 작가들은 물리적인 미술 작품과 디지털 창작물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예술 작품을 창조할 수 있었다. 미술가 민 아타이루는 챗GPT 출시 전부터 예술 분야에서 AI를 사용해 온 선구자적 인물이다. 그는 2D와 3D로 생성된 이미지와 소라를 이용해 흑인 역사 기록물을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했다. 아타이루는 "AI가 제공하는 새로운 도구를 통해 더 깊이 있는 이야기와 시각적 표현을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AI를 예술 창작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논란도 있다. AI가 기존 작품을 학습하고 모방하는 과정에서 저작권 침해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공공예술가 커리 해켓은 "AI 도구 사용에는 환경 문제, 정치적·윤리적 문제가 있지만, 창의적인 미디어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피아 윌슨 시각 미술가는 "모든 것에는 단점이 있지만, 아티스트로서 새로운 기술을 내 이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며 "나는 역사에 뒤처지고 싶지 않다. AI를 두려워하기보다는 작품을 향상하는 도구로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09-07 10:23:0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