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보험연구원의 'KIRI 리포트'에서 기승도 수석연구원은 최근 물적담보의 사고 손해액 증가와 보험료 인하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손해율이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했다.
또 손해율 안정화를 위해 부품비 인상 등 일부 통제 방안을 마련하고, 적시 보험료 조정도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2017년 73.9% 이후 매년 증가해 올해 1~3월 누적 손해율은 79.1%를 기록했다.
기승도 수석연구원은 물적담보 손해율 증가가 자동차보험 손해율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피해물의 수리 등에 사용되는 물적담보의 손해율은 2017년 69.2%에서 2018년 79.8%로 크게 늘었다. 반면 피해자 치료에 사용되는 인적담보 손해율은 같은 기간 81.8%에서 78.5%로 줄었다.
기승도 수석연구원은 물적담보 손해율이 증가한 이유를 사고당 손해액이 증가하고 대당 경과보험료는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자동차 보험 사고에서 수리가 가장 많은 부품인 앞·뒤 범퍼, 뒷도어의 가격이 2017년 이후 5~11%나 오른 것도 사고당 손해액을 끌어올렸다.
그는 "수리와 관련해 모럴해저드를 유발하는 부품비 등 원가 지급구조를 개선하고, 부품가격지수 도입·부품 유통구조 개선 등으로 부품비 인상을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보험회사들이 실적 손해율에 따라 보험료를 자유롭게 결정하고, 새로운 상품 도입을 통해 시장경쟁을 하도록 유도하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