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대신지배구조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 사업보고서에 '배당정책에 대한 구체적 목표'를 제시한 기업은 현대모비스 1곳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기업은 모두 배당 지급 내역만을 설명하거나 구체적인 배당목표를 제시하지 않았다.
5곳만이 홈페이지에 주주환원 혹은 배당 관련 별도의 정보가 있었다. 이 중 '삼성전자'만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LG화학'은 투자·현금흐름(Cash Flow)·재무구조 등을 고려해 배당금을 결정한다는 개괄적인 내용은 있었으나 구체적인 배당목표 등을 제시하지 않았다. 'POSCO(포스코)'도 "분기배당을 포함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현금배당 수준 유지"라는 간략한 설명만 제시됐다. 수시공시를 통해 배당정책을 공시한 기업을 포함할 경우, 총 3곳에서만 배당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송민지 선임연구원은 "현재 국내 상장 기업의 결산배당 기준일은 12월 31일로 정해져있는데 배당 결정 공시는 대개 12월∼3월에 걸쳐 이뤄지기 때문에 주주가 배당 권리를 확정하는 시점에서 관련 정보를 얻기 어렵다"면서 "배당 결정 공시에도 해당 사업연도의 결산배당 결정사항에 대한 내용만이 담겨 있어 기업의 장기 배당 정책을 판단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국내 기업 가운데에는 사업보고서나 홈페이지 등을 통해 별도로 배당정책을 밝히는 경우도 드물다"고 지적했다.
반면 일본의 경우 시총 상위 10개 기업 중 도요타·KDDI·미츠비시 UFJ 파이낸셜·일본전신전화 등 4곳이 2018년 사업보고서에 배당 목표를 기재했고 잉여현금흐름이나 조정 주당 순이익 등 배당 목표 결정의 기준이 되는 지표도 함께 제시했다. 또 9곳이 홈페이지에 별도의 안내 페이지를 마련하고 이 중 8곳은 향후 배당 목표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송민지 연구원은 "최근 국내 상장기업의 현금배당 확대 추세는 긍정적이지만 지속적인 주주환원 확대를 위해서는 배당 및 주주환원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공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배당정책 공시의 질적 향상을 위해 기업의 배당 목표 및 배당가능이익 정보 등을 기재하도록 한 '표준 공시 양식'을 도입하고, 주주들도 주주제안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적극적으로 배당 관련 정보를 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