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요일
흐림 서울 11˚C
흐림 부산 13˚C
흐림 대구 10˚C
맑음 인천 10˚C
흐림 광주 11˚C
흐림 대전 10˚C
울산 11˚C
흐림 강릉 8˚C
흐림 제주 12˚C
산업

EV 폐배터리 재활용 대세? 한 발 늦은 상황 바꾸려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문은주 기자
2022-06-03 18:57:39

배터리 주요 물질 '희토류', 채굴·생산 과정서 환경오염 주범

중국·미국 등 재활용 나서..."규제 완화로 블루오션 활용해야"

[이코노믹데일리] 전기자동차가 상용화된 지 10주년을 맞은 가운데 전기차용 배터리가 새로운 골칫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폐배터리 회수·처리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재활용 방안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마땅한 가이드라인이 없어서다.

전기차용 배터리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은 리튬과 망간, 니켈, 코발트 등 희토류다. 채굴과 추출 과정에서 대기 오염 물질이 나오는 등 환경 오염이 발생한다. 많은 물을 사용해야 하고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도 문제다. 재처리와 정화 과정에 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다량의 중금속이 포함돼 있는 만큼 그대로 매립할 경우 토양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아예 전기차용 폐배터리를 두고 리튬·망간·니켈 등을 1% 이상 함유한 유독 물질로 분류하기도 했다.

다른 나라도 폐배터리 활용을 두고 고심하고 있지만 마땅한 해결책은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전기차 보급이 속도를 낸 게 오래되지 않은 데다 아직까지는 폐배터리 문제가 피부에 닿는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지 않아서다. 그나마 전기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는 중국이 베이징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 사업을 시행하는 등 정부 주도로 재활용 정책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교수는 "폐배터리는 새로운 쓰레기이기도 하지만 '황금'을 캐는 산업으로서 중요한 미래 먹거리 중 하나"라며 "폐배터리 재활용에 있어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역할이 서로 다른 만큼 법적으로 (재활용 절차를)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도 대응에 나선 가운데 한국의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은 다소 뒤처져 있다는 평가다. 그간 다수 대책들이 나왔지만 정부 보조금 지급 문제나 소유권 등을 두고 갈등이 이어지면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일부 재활용 대안에 대한 안전성이나 효율성 등도 논란 요소다.

그래도 여러 한국 기업들은 폐배터리 활용을 주목하고 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에 친환경 해법을 고민하고 있는 데다 비용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전기차용 배터리 주재료인 희토류는 채굴 특성상 중국 등 개발도상국이 독과점하고 있어 원자잿값이 상승할 때마다 부담으로 작용한다. 

글로벌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는 2025년부터 연평균 33%씩 성장해 2040년 574억달러(68조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기술을 선점할수록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관측이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모든 사업의 경쟁력은 자원 시장·규모·규제·기술력 등 네 가지로 규정되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라며 "정부 차원에서 규제를 풀어주면서 폐배터리 활용 기술 관련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해주면 새로운 블루오션으로서 해외 수출 효과나 수출 효자 노릇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평가했다.
 

지난 5월 18일 현대차·기아가 오는 2030년까지 8년여간 국내 전기차 분야에 21조원을 투입하겠다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현대차그룹]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
KB퇴직연금
KB금융지주_1
부광약품
KB금융지주_2
nh농협은행
KB퇴직연금
한국투자증권
씨티
SK하이닉스
퇴직연금
신한라이프
퇴직연금
포스코
KB퇴직연금
NH투자증
녹십자홀딩스
KB금융지주_3
종근당
우리은행
NH
삼성화재
DB손해보험
신한은행
기업은행
하나금융그룹
한화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