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4곳 중 3곳 "하반기 투자 유지 또는 확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고은서 기자
2023-06-15 15:50:23

대기업 25% 하반기 투자, 상반기보다 축소

기업 67%, "내년 이후 투자 본격 회복될 것"

2023년 상반기 대비 하반기 투자 규모 전망[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대기업 4곳 중 3곳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하반기(7~12월) 투자 규모를 상반기(1~6월)와 비슷한 수준으로 이어가거나 확대할 전망이다.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2일까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하반기 투자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24.3%가 하반기 투자 규모를 올해 상반기 대비 줄인다고 답했다. 

반면 응답기업 15%는 투자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답했고 응답기업 중 60.7%는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투자 확대를 계획 중인 기업보다 투자를 축소하겠다는 기업이 더 많은 셈이다.  

투자 규모를 늘리기 어려운 이유로는 △경기 둔화 등 경제 전망 불확실(33.7%) △글로벌 통화긴축 지속(18.7%) △금융시장 위축·자금 조달 애로(11.7%) 등을 들었다. 

투자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답한 기업은 주된 이유로는 업황 개선 기대감(35.4%)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31.3%) △세제 지원·규제 완화 등 투자 인센티브 확대(14.6%) 순이다. 
 

(왼쪽 그래프부터)2023년 하반기 투자 위험 요인, 2022년 5월부터 2023년 5월까지 기준금리와 환율[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들이 꼽은 하반기 투자 활동을 저해하는 리스크로는 글로벌 경기 둔화(28.4%)가 가장 많았다. △글로벌 긴축에 따른 금리 상승세 지속 △고환율 지속 등이 뒤를 이었다. 

투자가 본격적으로 회복할 시점에 대해서는 67.2%가 '내년'을 꼽았다. 그 중 내년 상반기는 36.4%, 내년 하반기는 30.8%다. '2025년 이후'는 11.2%, '올해 하반기'는 10.3%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기업들은 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R&D) 공제·법인세 감세 등 세제 지원 강화(26.2%)와 투자 관련 기업 규제 완화(19.3%),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16.2%) 등을 원하는 것으로 언급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은 글로벌 경제 위축, 수출 감소, 판매 부진에 따른 재고 누적 등으로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는 연구개발(R&D) 지원을 보다 확대하고 규제 개선과 노동시장 개혁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금융그룹2
롯데케미칼
교보증권
KB금융그룹1
수협
KB국민은행
한국조선해양
포스코
우리은행
신한카드
DB그룹
하나금융그룹
신한은행
KT
신한금융그룹
삼성전자 뉴스룸
SK하이닉스
KB증권
KB금융그룹3
종근당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