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사직서 제출은 박단 전공의협의회장을 비롯한 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성모병원 등 5개 병원 전공의 대표들이 지난 15일 밤 11시부터 이튿날 새벽까지 진행된 회의를 통해 결정됐다.
앞서 정부는 이런 의료계의 움직임을 예상하고 강력한 대응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각 수련병원에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와 의사단체에는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 명령을 내렸고, 이를 어길 시 최대 ‘의사 면허 취소’까지 고려하겠다는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다.
그럼에도 전국 7개 병원에서 154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다. 보건복지부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16일 0시 기준 △원광대병원 레지던트 7명 △가천대길병원 레지던트 17명·인턴 4명 △고대구로병원 레지던트 16명·인턴 3명 △부천성모병원 레지던트 13명·인턴 23명 △조선대병원 레지던트 7명 △경찰병원 레지던트 6명 △서울성모병원 인턴 58명 등이 제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16일 열린 중수본 브리핑에서 “정부는 이 시간부로 221개 전체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집단연가 사용 불허 및 필수의료 유지명령을 발령한다”며 “현장점검 결과 진료를 거부한 전공의들에 대해서는 개별적 업무개시 명령을 발령하고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상응하는 법적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2020년과 같은 구제 절차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강경한 방침때문인지 대전성모병원 소속 인턴 21명 전원은 병원에 사직서를 내고 근무 중단 의사를 밝혔지만, 이날 정오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의료계는 전공의 사직과 근무중단으로 당장 주말에 있을 수술 등 일정에 자질이 생기며 의료대란이 현실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파업 등으로 병원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진료지원인력(PA), 군 병원을 비롯한 공공병원, 비대면 진료를 활용해 의료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박 차관은 15일 라디오에서 “전공의 등의 파업으로 병원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면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하고 PA가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마련하겠다”라며 “군 병원을 활용한 응급실 이용, 공공의료기관들을 활용한 응급체계 대응, 기존 인력들이 조금 더 시간을 내서 진료 시간을 확대하는 것 등 모든 대책을 준비해 가급적 진료에 지장이 없게 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