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롯데케미칼, 전기차 화재 늦추는 배터리용 플라스틱 제품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유환 기자
2024-06-20 16:15:21

유리섬유 섞어 강성, 난연성 높여

1000℃에서 5분, 10분 이상 버텨

"2차 피해 줄이고 화재 진압 시간 확보"

사진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 로고 [사진=롯데케미칼]
[이코노믹데일리] 롯데케미칼이 전기차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을 지연할 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고온에서도 형태를 유지하는 고강성, 난연성 플라스틱이 개발되면서 전기차 화재 확산을 늦출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열폭주는 배터리가 물리적 충격이나 과전압에 의해 내부 온도가 1000℃ 이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엔 연비 개선과 원가 절감을 위해 배터리 내 플라스틱 소재 비율이 늘어나고 있어 플라스틱의 난연성이 중요해지는 추세다.

롯데케미칼은 '짧은 유리섬유(SGF)'가 적용된 PP/SGF와 '긴 유리섬유(LGF)'가 쓰인 PP/LGF를 개발했다. 두 소재 모두 고온에서도 버티는 난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LGF는 충격을 버티는 강성도 함께 개선했다. 또 난연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해 물질 '할로겐'을 넣지 않아 친환경적인 소재다.

자체 배터리 열폭주 시험에선 1000℃를 기준으로 PP/SGF가 5분, PP/LGF가 10분 가량 본래 형태를 유지한 채 버텼다. 이런 성능을 바탕으로 세계적 안전 인증업체 'UL 솔루션즈'의 시험 인증도 받았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된 플라스틱을 배터리용 소재로 적용하면 화재 발생 시 연소 시간을 지연해 2차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 진압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롯데케미칼은 전기차 배터리용 고강성 난연 PP 소재 등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소재를 제공할 계획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