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전기버스가 장악한 곳은 칠레뿐만이 아니다. 또 다른 남미 국가인 콜롬비아도 2019년 전기버스 64대를 BYD로부터 들여오는 계약을 체결한 이후 중국 전기버스 도입이 꾸준히 늘고 있다. 현재 콜롬비아에서 운행 중인 전기버스 1590대 중 약 97%인 1547대가 BYD 차량이다.
BYD와 유통 등 중국 전기버스 업체는 최근 전기버스 도입 정책을 펼치는 신흥국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시장을 선점하는 모습이다. 반면 현대자동차와 KGM 커머셜(옛 에디슨모터스) 같은 국내 업체가 만든 전기버스는 해외에서 종적을 감추다시피 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남미 전기버스 통계 서비스인 E-버스 레이더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이 지역에 운행 중인 전기버스(5899대) 93% 이상이 중국 업체의 차량이다. BYD가 2599대(44.1%)로 가장 많고 포톤이 1380대(23.4%), 유통이 840대(14.2%)로 뒤를 이었다. 한국 업체가 제작한 전기버스는 남미에 한 대도 없었다.
중국 전기버스는 남미 등 신흥국을 넘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다. 상하이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오토모티브포사이트는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전 세계 전기버스 시장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전기버스의 주 고객이 운수업체다보니 브랜드보다는 품질과 가격을 우선시한다"면서 "중국 업체들은 입찰에 참여할 때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바탕으로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면서 시장을 잠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는 사이 한국 전기버스 제조사는 안방 시장을 지키는 데에도 역부족이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자료를 보면 중국산 전기버스는 2019년 127대가 새로 등록된 이후 매년 가파르게 늘어 지난해 1522대까지 신규 등록대수가 증가했다. 점유율로는 2019년 23.9%에서 지난해 54.1%로 급기야 절반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 환경부가 국산 전기차에 유리한 방향으로 보조금 지급 기준을 개편하면서 중국 전기버스의 기세는 한풀 꺾였다. 올해 상반기 국내에 새로 등록된 중국산 전기버스는 438대, 점유율로는 40.7%였다.
현재 국내에서 전기버스를 생산하는 업체는 현대차와 KG그룹 계열 상용차 제조사 KGM 커머셜, 우진산전, 범한자동차 등 4곳에 불과하다. 그마저도 핵심 부품인 배터리와 파워트레인(구동계)을 국산으로 사용한 곳은 현대차와 KGM 커머셜 정도다. 전기 철도차량 전문 제작사인 우진산전은 도시형 저상버스는 자체 생산하지만 시외형 고상버스는 중국 제품을 들여와 조립, 판매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국내 전기버스 제조사의 해외 판로 개척은 미진한 상황이다. 현대차는 일반적인 배터리 방식 전기버스가 아닌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수소전기버스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2020년과 2022년 각각 오스트리아(3대)와 사우디아라비아(2대)에 '일렉시티 FCEV'를 수출한 게 거의 전부다. 배터리 전기버스 수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신흥국에서는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
KGM 커머셜은 국내 최초로 완성차 형태의 전기버스를 파라과이에 수출하기로 했다. 우선 5대를 공급하는 시범 사업 성격이지만 향후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으로 판매처를 확장할 계획이다.
KGM 커머셜 관계자는 "경남 함양공장과 전북 군산공장을 합치면 연간 800대까지 전기버스를 생산할 수 있다"면서 "현재 11m와 9m급 버스에 더해 내년에는 7m급 중소형 차량까지 양산해 해외 시장을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