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0˚C
맑음 부산 5˚C
맑음 대구 4˚C
흐림 인천 1˚C
흐림 광주 4˚C
흐림 대전 3˚C
흐림 울산 3˚C
흐림 강릉 1˚C
흐림 제주 9˚C
산업

시총·실적 역주행한 한국 대기업…미국·일본·대만은 '고공행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효진 기자
2024-12-11 10:41:17

한국만 시총 감소…4년 만에 대만에 역전 당해

영업이익도 뒷걸음질…주요 경쟁국과 격차 확대

그래픽CEO스코어
한국‧미국‧일본‧대만의 시가총액 상위 기업 실적을 비교한 결과 한국 기업들만 유일하게 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CEO스코어]
[이코노믹데일리] 한국과 미국, 일본, 대만의 시가총액 상위 기업 실적을 비교해 보니 한국 기업들만 유일하게 상황이 악화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이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삼은 수치로 '12.3 계엄 사태'가 발생한 후엔 그 격차가 더 크게 벌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11일 한국‧미국‧일본‧대만 4개국 시총 상위 10개사의 2020년 말부터 지난달 말까지 최근 4년간 시총과 영업이익을 조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말 현재 국내 시총 상위 10개사는 시총이 735조4202억원으로 2020년 말 842조8808억원에 비해 12.7%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일본‧대만의 시총 상위 10개 기업들은 모두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미국은 106.9% 급증했고 일본도 53.3% 늘었다.

대만 역시 같은 기간 82.9% 시총이 커졌다. 특히 대만은 2020년 말 10개사 시총 규모가 756조5917억원으로 한국의 842조8808억원보다 10.2%가 작았었다. 그러나 4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대만의 시총은 1534조5553억원으로 급증하며 735조4202억원으로 쪼그라든 한국보다 2.1배 커져 역전했다.

시총 뿐 아니라 영업이익에서도 한국 기업들만 유일하게 뒷걸음질 쳤다. 한국 시총 10대 기업의 영업이익 총액은 2020년 44조3132억원에서 올해 35조3121억원으로 20.3% 감소했다. 반면 미국은 2238억 달러(약 321조858억원)에서 4921억 달러(약 706조 148억원)로 119.9% 급증했다. 일본과 대만의 영업이익도 각각 116.3%, 122.8% 늘며 한국 기업들과 대비를 이뤘다.

국가별 시총 1위 기업만 놓고 봐도 결과는 비슷했다. 한국의 삼성전자는 지난 2020년 483조5524억원이었던 시총이 지난달 말 323조5622억원으로 33.1% 줄었고 영업이익도 27조7685억원에서 6조5670억원으로 76.4% 감소했다.

반면 미국의 애플은 시총이 2조2560억 달러(약 3227조8800억원)에서 3조5874억 달러(약 5132조8500억원)로 59% 늘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663억 달러(약 94조8620억원)에서 1232억 달러(약 176조2745억원)로 85.9%나 급증했다. 일본 도요타 역시 시총 55.2%, 영업이익 123.1% 늘었다. 대만의 TSMC도 다르지 않았다. 시총과 영업이익이 각각 87.9%, 147.2% 폭증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씨티
하나금융그룹
경주시
NH
NH투자증
삼성증권
스마일게이트
한화
kb금융그룹
롯데캐슬
카카오
포스코
우리은행
db
하이닉스
삼성전자
교촌
삼성화재
KB국민은행
신한금융지주
SC제일은행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DB손해보험
신한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