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기술 개발은 스마트폰에 통상적으로 탑재되는 안테나 수를 4개에서 최대 8개로 확장하고 온디바이스 AI를 통해 데이터 전송 품질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진은 기존 스마트폰과 동일한 크기와 주파수 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안테나 수 증가를 통해 통신 성능 향상을 꾀했다.
특히 이번 기술의 핵심은 AI가 100만 가지 이상의 스마트폰 사용 시나리오를 학습하여 다양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의 자세 변화나 주변 환경 변화 등 통신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AI가 실시간으로 분석, 안테나 성능을 최적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다중 안테나 기술 개발이 하드웨어 개선에 집중되었던 반면 이번 연구는 AI 기반의 소프트웨어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SK텔레콤은 실증 실험을 통해 개발 기술의 성능을 입증했다. 글로벌 통신 계측 장비 기업 안리쓰(Anritsu)의 측정 장비를 활용, 실험실 환경에서 진행된 테스트 결과, AI 기반 안테나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폰은 기존 스마트폰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은 개발 기술의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고 칩셋 제조사, 부품사, 스마트폰 제조사 등과 협력하여 상용화를 위한 로드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또한 온디바이스 AI 분야 연구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리딩 라이트 어워드 2024’에서 온디바이스 AI 기반 스마트폰 소비전력 감소 기술로 ‘우수 AI 활용 사례’ 부문 상을 수상한 바 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 기술본부장은 “이번 성과는 온디바이스 AI가 스마트폰 성능과 통신 기술을 한 단계 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향후 혁신적인 기술 연구를 지속, 고객 만족도 제고와 6G 및 AI 인프라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원빈 포스텍 교수는 “안테나 기술은 통신 경쟁력의 핵심 요소이나 현실적 제약으로 발전이 더딘 분야였다”며 “온디바이스 AI와 안테나 확장 기술 융합을 통해 기존 한계를 극복하고 통신 분야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