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3 목요일
맑음 서울 3˚C
맑음 부산 5˚C
맑음 대구 4˚C
맑음 인천 3˚C
맑음 광주 -2˚C
구름 대전 -0˚C
맑음 울산 1˚C
맑음 강릉 2˚C
구름 제주 5˚C
IT

카카오, 커머스 호조에도 4분기 '쓴맛'…AI·톡으로 돌파구 모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2-13 11:05:34

선물하기·톡딜 등 커머스 부문 성장 견인했지만, 콘텐츠 부진 발목

정신아 대표 "카카오톡·AI 집중 성장…새로운 서비스 순차 출시"

사진카카오
[사진=카카오]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가 지난해 선물하기와 톡딜 등 커머스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연간 기준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4분기에는 콘텐츠 부문의 부진으로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게임, 뮤직, 미디어 등 주요 콘텐츠 사업이 IP 라인업 공백과 시장 상황 악화로 타격을 입으며 전체 실적 하락을 견인했다. 다만 플랫폼 부문은 톡비즈와 모빌리티, 페이의 꾸준한 성장세에 힘입어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 카카오는 올해 카카오톡과 인공지능(AI)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신규 서비스 출시와 사업 효율화에 집중해 실적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13일 카카오가 발표한 2024년 연간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연결 기준 매출액은 7조 8738억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4915억원으로 6.6% 늘었다. 그러나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액은 1조 95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067억원으로 33.7% 급감했다. 이는 일회성 대손상각비 반영의 영향도 있지만 콘텐츠 부문의 부진이 뼈아픈 대목이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플랫폼 부문은 톡비즈, 플랫폼 기타 모두 성장세를 이어갔다. 톡비즈 매출액은 56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전 분기 대비 10%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광고형 매출은 금융, 커머스 광고주 증가와 톡채널 확장 덕분에 5% 늘었고 선물하기, 톡딜 등 거래형 매출은 자기 구매 트렌드 강화와 개인화 상품 추천 고도화, 계절적 성수기 효과가 겹치며 4% 증가했다. 특히 선물하기 자기 구매 거래액은 20%나 늘어 커머스 부문 성장을 이끌었다. 

플랫폼 기타 부문 역시 모빌리티와 페이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매출액이 4031억원으로 22%나 증가했다. 모빌리티는 택시, 대리운전, 주차 등 전 사업 영역에서 성장했으며 카카오페이는 금융 서비스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카카오페이증권 역시 첫 분기 흑자를 달성하며 힘을 보탰다.

반면 콘텐츠 부문은 게임, 뮤직, 미디어 등 주요 사업의 동반 부진으로 4분기 매출액이 91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나 감소했다. 

게임 매출은 신작 부재와 기존 게임의 하향세가 겹치며 30% 급감했고 뮤직 매출 역시 레이블의 기저효과로 6% 줄었다. 스토리 매출과 카카오픽코마 매출도 각각 5%, 3% 감소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특히 미디어 매출은 시장 전반의 편성 축소 기조 장기화로 25%나 감소하며 콘텐츠 부문 실적 악화의 주범으로 작용했다. 포털비즈 역시 이용자 지표 감소 영향으로 매출액이 832억원으로 6% 줄어들며 하락세를 보였다.

카카오는 올해 AI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B2C AI 서비스를 강화하고 상반기 내 AI 기반 검색 서비스 ‘카나나’를 CBT(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거쳐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카카오톡 AI 메이트를 정식 출시하여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AI 기반의 다양한 B2C 서비스를 카카오 생태계 전반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콘텐츠 부문은 사업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재무 건전성 강화와 함께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주력할 예정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올해 카카오는 카카오톡과 AI라는 핵심에 집중하여 성장을 추진하고, 새로운 서비스들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의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13일 오전 10시 23분 기준 카카오는 전일 대비 4.05% 하락한 4만 300원에 거래되며 시장의 실망감을 반영했다. 이는 AI 경쟁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했던 만큼 4분기 실적 부진에 대한 실망 매물이 쏟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은행
종근당
농협
KB손해보험
우리은행_2
하나카드
여신금융협회
신한금융
우리은행_1
쿠팡
NH
하나금융그룹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