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자동차 부품 관련 일부 관세를 면제할 전망이다.
25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 23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검토 중인 면제 방안은 전세계 대상의 철강·알루미늄 관세(25%) 부과 대상에서 자동차 부품을 제외하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등 제품에 예외 없이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자동차 관련 부품도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시킨 바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합성마약 펜타닐 원료의 대미 유입 근절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며 중국에 부과해온 20%의 관세도 자동차 부품은 면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이 같은 조치는 미국 자동차 업계의 강도 높은 탄원(로비)에 따른 결과라고 FT는 기술했다. 다만 이달 3일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부과되고 있는 25% 관세와 내달 3일부터 발효되는 자동차 부품 25%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관련 미국과 관세 협상을 위해 이날 워싱턴D.C.에 도착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자동차 관세는 대미 교역에 큰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신속히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25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 23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검토 중인 면제 방안은 전세계 대상의 철강·알루미늄 관세(25%) 부과 대상에서 자동차 부품을 제외하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등 제품에 예외 없이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자동차 관련 부품도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시킨 바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합성마약 펜타닐 원료의 대미 유입 근절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며 중국에 부과해온 20%의 관세도 자동차 부품은 면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이 같은 조치는 미국 자동차 업계의 강도 높은 탄원(로비)에 따른 결과라고 FT는 기술했다. 다만 이달 3일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부과되고 있는 25% 관세와 내달 3일부터 발효되는 자동차 부품 25%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관련 미국과 관세 협상을 위해 이날 워싱턴D.C.에 도착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자동차 관세는 대미 교역에 큰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신속히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