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요일
흐림 서울 29˚C
구름 부산 28˚C
흐림 대구 33˚C
맑음 인천 28˚C
맑음 광주 27˚C
구름 대전 29˚C
흐림 울산 29˚C
흐림 강릉 28˚C
흐림 제주 30˚C
IT

"AI 시대, 네트워크가 핵심 기반"…'6G·AI 네트워크' 고도화 한목소리로 촉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8-19 17:45:07

"도로 없는 자율주행차 될라"…'네트워크'에 달렸다

전문가들이 "가장 시급한 건 따로 있다"고 경고한 이유

19일 국회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주요3개국G3 도약’을 위한 6세대6G 이동통신·AI 네트워크 정책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19일 국회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주요3개국(G3) 도약’을 위한 6세대(6G) 이동통신·AI 네트워크 정책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이코노믹데일리] "네트워크 없이는 인공지능(AI) 서비스 확산을 바랄 수 없다. 이는 도로가 없는데 자율차가 운행하길 바라는 것과 같다."

AI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며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올랐지만 이를 뒷받침할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는 전문가들의 날카로운 지적이 쏟아졌다. 19일 국회에서 열린 ‘AI G3 도약을 위한 6G·AI 네트워크 정책 토론회’에 모인 산·학·연·관 전문가들은 AI 시대의 진정한 성공은 결국 고도화된 네트워크에 달려있다며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초당적 협력과 국가적 역량 결집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AI와 네트워크의 불가분 관계를 거듭 강조했다. 장경희 6G포럼 집행위원장은 "AI와 네트워크는 닭과 달걀의 관계"라며 운을 뗐다. 그는 "AI를 단순한 기술을 넘어 비즈니스와 생활에 안착시키려면 이를 뒷받침할 통신망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네트워크 고도화 없이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은 도로를 만들지 않고 자율주행차를 개발하려는 것과 같다"고 역설했다.

이경한 서울대 교수는 "AI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결국 고도화된 인프라"라며 "국민에게 AI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려면 전국적으로 얼마나 고도화된 네트워크를 갖추느냐가 중요하다. 네트워크가 AI에 결정적 역할을 할 중추라는 데 대중적인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신 3사 역시 현장의 목소리를 더하며 네트워크의 역할을 구체화했다. 류탁기 SK텔레콤 부사장은 "AI 시대의 본질은 모든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학습하고 실행되는 ‘커넥티드 인텔리전스’"라며 "네트워크 자체가 AI로 지능화돼야 함과 동시에 AI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는 두 가지 방향을 모두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식 KT 전무는 "AI 고도화를 위해 수집되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강력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며 특히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미션 크리티컬한 산업 영역과 데이터 보안에 있어 통신 인프라의 역할은 절대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전무 또한 "원활한 AI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해서도 네트워크가 중요하며 AI 자원과 네트워크 자원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플랫폼에 대한 선행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미국과 중국이 이미 한발 앞서 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최성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PM은 "미국은 오픈랜에 AI를 접목한 ‘AI-RAN’을 주도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GPU를 기지국에 접목한 통합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화웨이를 중심으로 유무선망 전체를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자율주행 네트워크’를 레벨4 단계까지 발전시키고 있다"며 양국이 기술 주도권을 잡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국이 추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자체를 AI로 진화시키는 ‘완전 자율 네트워크’ 구현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백용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소장은 "AI 기술은 열심히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 돈을 버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네트워크가 단순히 용량을 늘리는 수준을 넘어 역동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AI가 산업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AI가 돈을 벌게 하는 기반도 네트워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구 ORIA 집행위원장은 "2028년경 '피지컬 에이전틱 AI' 시대가 오면 외부 데이터를 끌어와 처리해야 하므로 네트워크는 더욱 중요해진다"며 "네트워크 스스로 상태를 인지하고 최적화하는 '네트워크 어웨어 AI'가 되면 통신사의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생태계가 형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결국 AI G3 도약을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과감한 투자와 산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는 결론으로 의견이 모였다. 홍진배 IITP 원장은 "AI가 스스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시대에 진입했다"며 "정부도 AI 고속도로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진정한 가치를 발현하려면 AI 데이터센터와 6G·AI 네트워크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허준 한국통신학회장은 "AI G3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여야가 초당적으로 협력하고 민·관·산·학·연이 힘을 합쳐 기술 주권 확보의 초석을 다져나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
한화
하나금융그룹
신한투자증권
한미그룹
부영그룹
종근당
국민카드
kb_3
KB금융그룹_3
농협
삼성자산운용
과실비율정보포털
메리츠증권
IBK
미래에셋자산운용
농협
kb
동국제약
KB_1
KB금융그룹_1
SK증권
롯데
신한은행
KB금융그룹_2
우리은행_2
우리은행_1
kb_2
NH농협
신한금융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