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클라우드가 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은 단순히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가 아닌, 확보한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는지에 달려있다고 선언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 최초의 AI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데이터센터부터 AI 플랫폼까지 모든 기술을 내재화한 ‘풀스택 AI 인프라’를 공개하며 글로벌 수준의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GPUaaS(서비스형 GPU) 시대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 이상준 CIO는 지난 27일 열린 테크밋업에서 “AI 인프라의 경쟁력은 GPU를 얼마나 많이 확보하는가를 넘어 확보한 자원을 얼마나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지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GPU 확보 경쟁에만 매몰되지 않고 운영 기술 내재화를 통해 AI 인프라 경쟁력을 완성하겠다는 네이버클라우드의 차별화된 전략을 보여준다.
네이버는 이미 2019년 엔비디아의 ‘슈퍼팟’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상용화하며 초고성능 GPU 클러스터를 직접 설계·운영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각 세종’에서는 대규모 GPU 클러스터의 냉각, 전력, 네트워크 등 핵심 인프라를 AI 워크로드에 맞춰 자체적으로 최적화하는 기술을 내재화했다.
이 CIO는 “네이버의 데이터센터는 AI 워크로드 전체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풀스택 AI 인프라”라며 “이처럼 인프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적으로 설계·운영할 수 있는 역량은 국내는 물론 글로벌에서도 손꼽힌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AI 연산의 폭증으로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관리하기 위해 ‘각 세종’에는 자체 개발한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이 적용됐다. 계절별로 외부 공기와 냉수를 병행 사용하는 이 시스템은 GPU 밀도가 높아져도 안정적인 열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차세대 기술인 액침냉각 인프라까지 구축해 고밀도 환경에 대응하는 기술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있다.
24시간 무중단 운영을 위해 전력, 냉각, 서버 등 모든 시스템은 이중화 구조(Active-Active Architecture)로 설계됐다. 수십만 대의 서버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구축한 자동화된 운영 체계는 장애 발생 시에도 시스템이 자동으로 복구해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인프라 위에서 하이퍼클로바가 운영되는 네이버의 AI 플랫폼은 모델 개발부터 학습, 추론까지 AI의 전 과정을 통제하는 ‘두뇌’ 역할을 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렇게 내부에 축적한 압도적인 기술과 운영 역량을 ‘GPUaaS’ 모델을 통해 국내 기업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상준 CIO는 “네이버클라우드는 축적한 AI 인프라 운영 역량을 GPUaaS 모델로 발전시켜 국내 기업들이 손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며 “이를 통해 AI 인프라가 특정 기업의 자산을 넘어 산업 전반의 성장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장] 멈출 수 없는 공간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설계 철학부터 달라진 이유](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7/20251027172628695516_388_136.jpg)


![[2025APEC] GS칼텍스, APEC CEO 서밋서 지속가능한 에너지 산업 전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8/20251028084652486391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