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분기 중 자산유동화계획을 등록하고 발행한 ABS 발행액은 13조3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6000억원(23.9%) 증가했다.
유동화자산별로는 대출채권 기초 ABS는 증가했고 매출채권 기초 ABS 발행은 소폭 줄었다.
대출채권 가운데 부동산 PF 기반 ABS는 전년보다 1600% 넘게 급증했다. 건설경기 악화로 시행사의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보증을 활용한 PF 유동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 판매가 확대되면서 주택저당채권 기반 대출채권도 30% 가까이 늘었다.
매출채권은 카드채권 기초 ABS 발행은 증가했지만 할부금융채권 기초 발행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8% 줄었다.
자산보유 주체별로는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일반 기업의 ABS 발행 규모는 증가한 반면 금융회사는 이전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전체 ABS 발행잔액은 9월 말 기준 243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조3000억원(5.9%) 감소했다.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②] SUV부터 세단까지…쏘렌토·텔루라이드·K5까지 3Q 이후에만 리콜 34만대 경신](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5/20251105144959133516_388_136.jpg)



![[증도가자 문화재 지정] ③ 문화재 지정에 걸림돌 되는 고인물은 무엇? 증도가자와 문화 권력의 교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100521666890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