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요일
구름 서울 13˚C
구름 부산 14˚C
구름 대구 15˚C
맑음 인천 12˚C
흐림 광주 11˚C
맑음 대전 10˚C
맑음 울산 11˚C
구름 강릉 10˚C
흐림 제주 14˚C
금융

상반기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175.2%...전년 말 比 0.9% ↑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방예준 기자
2025-11-20 15:15:11

당국 기준인 100% 상회...보험사 자본성증권 발행으로 자본 증가

금감원 "그룹 내 리스크 내부통제·위험관리 강화 지속 유도 계획"

서울 영등포구 소재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 영등포구 소재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DB·삼성·교보 등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상반기 자본적정성 비율이 소폭 개선됐다. 

20일 금융감독원의 '2025년 6월 말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금융복합기업집단(DB, 삼성, 다우키움, 교보, 미래에셋, 한화, 현대차)의 자본 적정성 비율은 175.2%로 전년 말(174.3%) 대비 0.9%p 상승했다.

통합자기자본은 180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171조1000억원) 대비 5.3% 증가했다. 이는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이익잉여금이 증가하고 보험계열사 그룹의 자본성증권 발행이 늘어난 영향이다.

통합필요자본은 102조8000억원으로 전년 말(98조1000억원) 대비 4.8% 늘었다. 보험계열사 그룹이 보장성 보험 판매 확대로 인해 장해·질병 위험액이 늘어나면서 통합필요자본도 함께 증가했다.

각 집단별 비율은 △DB 204.2% △삼성 189% △다우키움 186.7% △교보 181.7% △미래에셋 164.1% △한화 152% △현대차 147.8% 순으로 집계됐다. DB·삼성·현대차는 비율이 상승한 반면 나머지 집단은 비율이 하락했다.

현재 당국의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규제 비율은 100%로 모든 집단이 이를 상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내외 시장지표 및 주요소속금융회사의 경영실적 등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추이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전이·집중위험 등 그룹 내 리스크에 대한 내부통제 및 위험관리 강화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롯데캐슬
db
NH
카카오
삼성증권
신한금융지주
SC제일은행
한국투자증권
하나금융그룹
한화
한화투자증권
KB국민은행
NH투자증
하이닉스
씨티
삼성화재
스마일게이트
kb금융그룹
우리은행
포스코
DB손해보험
삼성전자
경주시
신한투자증권
교촌
신한라이프
신한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