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의 IT 솔루션 자회사 디케이테크인이 운영하는 CS(고객 응대) 챗봇 서비스가 사용자 500만명을 돌파하며 이커머스 시장의 필수 솔루션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접목한 이후 성장 속도가 3배 이상 빨라지며 AI 기술 도입의 실질적 성과를 증명했다는 평가다.
디케이테크인은 28일 자사의 카카오톡 기반 쇼핑몰 전용 CS 챗봇 ‘챗봇나우’의 누적 이용자 수가 500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는 서비스 출시 2년 8개월 만의 성과다.
주목할 점은 가파른 성장 속도다. 2023년 3월 출시된 챗봇나우는 누적 이용자 300만명을 달성하기까지 약 2년이 걸렸다. 하지만 이후 불과 8개월 만에 신규 이용자 200만명을 추가로 확보하며 500만 고지를 밟았다. 단순 계산으로도 성장세가 3배 가까이 빨라진 셈이다.
실제 상담 처리 실적도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 챗봇나우가 처리한 상담 건수는 약 301만700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4% 폭증했다. 이는 인건비 상승과 인력난으로 인해 자동화된 고객 응대 시스템을 찾는 쇼핑몰들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퀀텀 점프'의 핵심 동력으로는 올초 도입된 ‘챗봇나우 AI 답변’ 기능이 꼽힌다. 디케이테크인은 기존의 규칙 기반 챗봇에 LLM 기술을 적용해 기능을 고도화했다. AI가 고객의 문의 의도를 문맥에 맞춰 파악하고 각 쇼핑몰의 교환·반품 정책이나 상품 정보를 학습해 최적화된 답변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이 기능은 제품 추천부터 배송 현황 조회, AS 접수 등 쇼핑몰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순 반복 문의를 효과적으로 처리했다. 실제 챗봇나우를 도입한 쇼핑몰들의 상담사 연결 요청량은 평균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원은 고난도 문의에 집중하고 단순 문의는 AI가 처리하는 효율적인 업무 분담이 가능해진 것이다.
접근성 또한 성장의 한 축을 담당했다.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전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채널 안에서 바로 상담이 가능하다는 점은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진입 장벽을 낮추는 요인이 됐다. 현재 패션, 뷰티, 식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쇼핑몰들이 챗봇나우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남궁진 디케이테크인 AX사업실장은 “이용자 500만 돌파는 CS 효율 개선과 고객 만족도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결과”라며 “카카오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AI 기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쇼핑몰 운영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디케이테크인과 케이앤웍스가 공동 개발·운영하는 챗봇나우는 이번 성과를 발판으로 이커머스 AX(AI 전환)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더욱 공격적으로 확대할 전망이다.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