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영향으로 올해 국내 은행들의 수익성 저하 현상이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현재 은행권 대손비용율은 안정적이지만 '코로나 대출' 상환유예 조치의 착시 효과가 걷히면 대규모 대손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발표한 '금융업권 2020년 신용등급 변동과 2021년 방향성'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은행권에 잠재된 위험요소(리스크)를 언급했다.
나신평은 우선 금융권 전체 실적은 코로나19 팬데믹(전세계 유행)의 진정 여부에 달렸다고 전제했다. 백신 개발 성공 소식이 들리고 있어도 치료 효과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백신 접종 이후 정책성 금융지원조치를 축소하는 과정에서 잠재 부실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초부터 불거진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 경제주체의 부채는 과도한 수준으로 증가했다고도 진단했다. 결국 시간을 두고 '부채의 역습'으로 돌아올 공산이 크다는 시각으로, 나신평은 최근 3년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계속 하락한 반면 금융권의 대출채권증가율은 상승한 점을 주목했다.
이혁준 나신평 금융평가본부장은 보고서에서 "경제성장률과 대출채권증가율 간 괴리가 확대되면 과잉 유동성 때문에 금융시장과 자산시장에 '버블'이 만들어진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은행의 대손비용율은 0.3% 내외로 안정화돼 있으나, 올해의 경우 판도가 바뀔 수 있다고 예상했다. 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입은 기업과 자영업·소상공인들이 은행에서 빌린 대출원금의 대규모 상환유예 조치가 한계에 달해 숨겨 있던 부실이 본격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신평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를 예로 들며, 은행권의 순이자마진(NIM)이 2007년 당시 2.4%에서 2009년 2.0%로 하락한 동시에 대손비용률은 같은 기간 0.4%에서 0.9%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흐름이 코로나19 사태 전후로 유사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견해다.
은행권의 자산건전성도 우려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국가적 경제위기 상황을 감안해 한계 차주에게 한시적인 채무 상환기간을 유예하고 있지만 이런 조치가 장기간 지속되면 자산건전성 지표의 왜곡이 심각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본부장은 "앞으로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 종료, 부도기업 증가, 한계 차주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등이 예상된다"며 "이를 고려할 때 올해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은 지난해 보다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발표한 '금융업권 2020년 신용등급 변동과 2021년 방향성'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은행권에 잠재된 위험요소(리스크)를 언급했다.
나신평은 우선 금융권 전체 실적은 코로나19 팬데믹(전세계 유행)의 진정 여부에 달렸다고 전제했다. 백신 개발 성공 소식이 들리고 있어도 치료 효과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백신 접종 이후 정책성 금융지원조치를 축소하는 과정에서 잠재 부실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초부터 불거진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 경제주체의 부채는 과도한 수준으로 증가했다고도 진단했다. 결국 시간을 두고 '부채의 역습'으로 돌아올 공산이 크다는 시각으로, 나신평은 최근 3년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계속 하락한 반면 금융권의 대출채권증가율은 상승한 점을 주목했다.
이혁준 나신평 금융평가본부장은 보고서에서 "경제성장률과 대출채권증가율 간 괴리가 확대되면 과잉 유동성 때문에 금융시장과 자산시장에 '버블'이 만들어진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은행의 대손비용율은 0.3% 내외로 안정화돼 있으나, 올해의 경우 판도가 바뀔 수 있다고 예상했다. 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입은 기업과 자영업·소상공인들이 은행에서 빌린 대출원금의 대규모 상환유예 조치가 한계에 달해 숨겨 있던 부실이 본격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신평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를 예로 들며, 은행권의 순이자마진(NIM)이 2007년 당시 2.4%에서 2009년 2.0%로 하락한 동시에 대손비용률은 같은 기간 0.4%에서 0.9%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흐름이 코로나19 사태 전후로 유사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견해다.
은행권의 자산건전성도 우려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국가적 경제위기 상황을 감안해 한계 차주에게 한시적인 채무 상환기간을 유예하고 있지만 이런 조치가 장기간 지속되면 자산건전성 지표의 왜곡이 심각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본부장은 "앞으로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 종료, 부도기업 증가, 한계 차주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등이 예상된다"며 "이를 고려할 때 올해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은 지난해 보다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