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미래에 벌어질 비대면 보험계약 모집과정을 상상한 것이다. 보험설계사와 고객이 미팅을 한 곳은 현실이 아닌 가상공간,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안에서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금융회사들이 하나둘 ‘메타버스’ 탑승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 경제활동의 주축으로 올라선 MZ세대를 공략하겠다는 목적 외에도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 금융권에서는 KB국민은행을 시작으로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이 메타버스 청사진을 내놓은 상태다.
메타버스가 고도화 되면 금융권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가 영업과 교육이다. 메타버스의 핵심 기술에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 위치해 있는데, 이 기술은 현존하는 다양한 물리적 사물 및 프로세스를 가상에 구현해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제조업 분야의 예측 시뮬레이션을 위해 개발됐지만, IoT(사물인터넷),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AI(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앞으로 금융권에서도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한 예로, 금융회사가 유망한 디지털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투자하거나 직접 기술을 도입해 금융 업무에 적용할 때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각종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 기술이 더 발전해 ‘금융 디지털 트윈’ 모델을 개발하면, 가상의 공간에서 고객의 금융거래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해서 잠재 수익성 등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현재 KB금융연구소는 이를 바탕으로 영업환경 효율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면 영업점포 효율성도 개선시킬 수 있다. 메타버스 공간 속에 가상화·시각화한 영업점포를 오픈하고 고객에게 제공하면, 고객은 오프라인 지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납입보험료가 큰 종신보험 계약을 해지하려 할 때는 가입자 본인이 오프라인 영업점에 직접 방문해야 한다. 메타버스가 발전해 가상공간 속 업무가 가능해지는 미래에는 이런 불편함이 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금융회사는 오프라인 점포를 개설하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어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가상 영업점포를 방문한 고객 역시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도 더 자세한 상담을 받을 수 있어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공간의 제약 없는 집합교육도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면 가능해진다. 현재 보험회사 전속채널 설계사는 신상품 교육, 불완전판매 교육을 물리적인 공간(교육장)에 모여서 받는데, 메타버스를 활용하면 이 같은 수고를 덜 수 있다.
이 외에도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비대면 영업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가상공간에서 고객의 보험 보장분석을 하고, 진단결과를 설명한 후 계약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험연구원은 지난달 발간한 리포트 ‘디지털 환경과 보험산업’을 통해 “최근 부상하고 있는 메타버스를 활용해 소비자는 가상공간에서 보험사 설계사와 상담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