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전국의 수출 제조업체 1222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 사태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를 실시하고 30일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과 올해 상반기(1~6월) 수출 실적을 비교했을 때 '수출 물량이 감소한 품목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36.3%였다, '수출 물량이 증가한 품목이 있다'고 답한 기업도 5곳 중 1곳인 20.2%로 적지 않았다. '변화 없다'고 답한 기업은 43.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기업들은 수출 증가 요인으로 '적극적인 해외 영업 활동'(34.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코로나로 수출 시장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선제 마케팅이 주요했다는 것이다. 이어서 '기존 거래처의 물량 증가'(28.0%), '새로운 수출 제품 개발'(27.8%), '고위기술 우위 확보'(25.8%), '단가 인하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18.9%), '국내 거래처의 해외 진출'(7.3%) 순으로 응답했다.
대한상의는 "지정학적 리스크(위험 요소)와 미미한 중국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효과 등 무역 환경이 악화한 상황에서도 현지 마케팅과 영업 활동을 강화하고 신제품, 고위기술 제품을 전면에 내세운 수출 기업들은 좋은 성과를 내고 있었다"며 "과거 수출 방식이었던 중간재의 단가 경쟁이나 모기업과의 동반 진출 등은 더는 수출 시장에서 먹히기 어려운 방식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수출 감소 품목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 중 '기존 거래처의 물량 감소'를 요인으로 꼽은 기업이 64.1%로 가장 많았다. '가격에서 경쟁사에 밀렸다'(24.0%)는 기업이 그 뒤를 이었고 '수출국의 정책과 규제'(14.4%), '폐업·이전 등 현지 거래처 사정'(11.1%), '현지생산으로 대체'(9.2%) 등을 수출 감소의 요인으로 꼽은 기업도 있었다.
수출이 감소한 품목의 대상 국가로 가장 많이 꼽힌 곳은 중국(39.4%)인 반면 수출이 증가한 품목의 대상 국가로는 미국'(29.0%)이 가장 많이 꼽혔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기업들이 해외 마케팅과 신제품 개발 등 수출 확대를 위해 애쓰고 있지만 경쟁사의 저가공세, 자국산 선호 경향, 보호무역주의 등에 맞서려면 수출 전략을 바꿔야 한다"며 "편중된 수출 대상국을 다변화하고 중간재 중심에서 수입선 대체가 어려운 소비재와 첨단분야 고위기술 제품 중심으로 수출 품목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