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 영농형태양광으로 농업·발전 '일거양득'…"농지법 개정은 숙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고은서 기자
2023-09-17 12:00:00

경북 경산 '영농형태양광 실증단지' 가보니

농경 기능 유지하면서 발전까지…수익성 ↑

법률상 25년짜리 태양광 8년 만에 걷어야

농지법 개정 '한 목소리'…"정책 개선 필요"

경북 경산 영남대학교 영농형태양광 실증단지 전체 전경사진한화큐셀
경북 경산 영남대학교 영농형태양광 실증단지 전체 전경[사진=한화큐셀]
[이코노믹데일리] 한국 농촌의 인구와 소득이 동시에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발전과 경작을 병행하는 영농형태양광이 농촌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농지를 전용하지 않아 농촌 농경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농가 수익성은 높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지난 13일 방문한 경북 경산시 영남대학교 영농형태양광 실증단지에는 총 100킬로와트(kW) 규모 영농형태양광 설비가 수놓아져 있었다. 영농형태양광은 발전과 경작을 병행하기 때문에 농지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크게 늘어난다는 특징이 있다. 

설치된 모듈 형태는 △단면형 일반(300평) △영농형 전용(협소형 양면·50평) △양면형 수직형(150평) △양면형 일반(90평) 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영농형 전용과 양면형 일반은 한화큐셀이 생산하는 모듈이다. 일반 영농형태양광의 연간 발전량은 총 12987.77와트(W)인 데 반해 한화큐셀이 만드는 협소형 전용 영농형태양광은 총 16689.60W로 28.5% 향상한 발전량을 보인다. 

실증단지를 직접 가보니 생산된 전력은 지난해 1년간 총 130메가와트아워(MWh)로 실증단지와 영남대학교 운영에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국내 가정용 기준으로 연간 약 140명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한화큐셀 영농형태양광 미디어 설명회에서 정재학 영남대학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사진한화큐셀
한화큐셀 영농형태양광 미디어 설명회에서 정재학 영남대학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사진=한화큐셀]
이 곳에서 생산한 전력을 사용해 재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도 시범 운영되고 있다. 빗물을 태양광 모듈 하부 파이프를 통해 물탱크에 저장했다가 가뭄 때 활용하는 형태다. 폭염, 폭우, 태풍, 혹한 등의 기후에서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농작과 전력 생산을 동시에 하는 탓에 영농형태양광으로 재배한 농작물의 수확량은 일반 농지 대비 약 80% 수준으로 줄어든다. 그런데 포도와 같은 작물은 영농형태양광을 설치했을 때 생육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다. 실제 영남대학교 과수원에서 진행된 실증연구 결과 영농형 태양광 하부 농지 포도 수확량은 일반 농지 대비 125%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영농형태양광에서 재배한 농작물 수확량은 최대 20% 수준 감소하지만 농부 수익은 되레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동서발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650평 자기소유 농지에 영농형태양광을 설치해 벼농사와 발전을 병행하면 같은 면적 농지에서 벼농사만 지을 때 수익인 160만원보다 최대 6배에 달하는 986만원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정재학 영남대 교수는 "농업을 중단하고 태양광 발전 설비만 운영하는 '농촌형태양광'과 달리 영농형 태양광은 농업 소득을 상회하는 매전 수익을 얻을 수 있어 소득을 올리기 어려운 농촌 현실에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영남대학교 영농형태양광 실증단지에서 직접 재배한 파 이 실증단지에서 수확한 농작물은 과제 주관사인 한국동서발전이 장학금 사업 불우이웃돕기 등 여러 사회공헌 활동에 사용하고 있다사진고은서 기자
영남대학교 영농형태양광 실증단지에서 직접 재배한 파. 이 실증단지에서 수확한 농작물은 과제 주관사인 한국동서발전이 장학금 사업, 불우이웃돕기 등 여러 사회공헌 활동에 사용하고 있다.[사진=고은서 기자]
그러나 여전히 농지법 개정은 숙제다. 현행 농지법상 태양광 발전설비는 농업보호구역에서 최장 8년 동안 설치할 수 있다. 통상 영농형태양광의 수명이 25년 이상인 것을 감안하면 경제성이 떨어지는 셈이다. 앞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현행 농지법 하에서 영농형태양광 사업을 8년 운영하면 비용대비 편익(B/C)은 0.74로 경제성이 없다"고 발표한 바 있다. 농지법을 개정해 타 용도 일시사용 허가 기간을 20년으로 늘리면 B/C는 1.24로 개선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을 시작으로 농지법 개정안이 여럿 발의됐지만 아직까지 전부 계류 중이다. 정재학 교수는 "임차농도 영농형태양광 발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투자나 관리 없이 단독으로 참여하는 농민에게 저금리 정책자금 지원 제도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국동서발전은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임도형 한국동서발전 미래기술융합원장은 "경제성 확보를 위해 한국동서발전은 시공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감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며 "시공이 간편해 설치기간은 20일에서 7일로 줄고 시공비도 약 30% 절감된다"고 자신했다. 

한편 해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RE100(재생에너지 100%) 기조에 따라 영농형태양광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일본은 무려 10년 전인 2013년 영농형태양광 관련 법안이 통과돼 현재 약 4000건 이상의 영농형태양광 발전소가 설치돼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롯데카드
롯데카드
KB증권
하나증권
키움증권
컴투스
하나금융그룹
KB
미래에셋자산운용
바이오로직스
HD한국조선해양
동아쏘시오홀딩스
한화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씨티
쿠팡
탁센
신한금융
한국증권금융
신한은행
종근당
하나증권
SC제일은행
기업은행
신한카드
농협
빙그레
삼성물산
KB퇴직연금
삼성화재
신한금융그룹
sk
NK Bank
cj프레시웨이
한화
KB퇴직연금
부영그룹
우리은행_3
KB퇴직연금
롯데케미칼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