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요일
맑음 서울 10˚C
맑음 부산 13˚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9˚C
흐림 광주 15˚C
맑음 대전 14˚C
맑음 울산 16˚C
맑음 강릉 15˚C
흐림 제주 18˚C
금융

손보업 K-ICS 비율 '뚝'…"보수적 가정" 메리츠만 '우상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3-11-16 16:47:06

삼성화재 제치고 3분기 별도 기준 순익 1위

서울 강남구 메리츠화재 본사 전경 사진메리츠화재
서울 강남구 메리츠화재 본사 전경 [사진=메리츠화재]

[이코노믹데일리] 새 회계기준(IFRS17) 가이드라인 적용 영향으로 올해 3분기 대형 손해보험사 신(新)지급여력제도(K-ICS) 비율이 하락한 가운데 메리츠화재만 유일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이드라인 적용 전부터 보수적인 계리적 가정을 사용해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5대 손보사인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보·KB손보·메리츠화재의 올해 9월 말(잠정) 평균 K-ICS 비율은 214.9%로 지난 6월 말 평균(215.8%) 대비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메리츠화재의 올 3분기 K-ICS 비율은 229.3%로 작년 말 같은 기간 RBC 비율(165.7%)보다 65%포인트가량 뛰었다.

보험사들은 기존에 부채를 원가로 평가하는 RBC 제도를 사용했지만 원가로 부채를 평가하는 것이 보험사의 경제적 실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올해 IFRS17 도입과 함께 K-ICS가 RBC 자리를 대체하면서 평가 기준이 달라졌다. K-ICS는 보험사의 자산 및 부채를 시가로 평가해 리스크·재무건전성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다만 IFRS17의 자유로운 계리적 가정 특성으로 보험사들이 보험계약마진(CSM)을 과대 산출해 이익을 부풀렸다는 논란이 나오자 금융당국은 올해 3분기부터 실손의료보험 손해율,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등을 가정할 때 사용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에 보험사들의 가용자본이 감소하면서 K-ICS 비율도 감소한 것이다.

반면 메리츠화재는 유일하게 K-ICS 비율이 상승하고 3분기 순이익(별도 기준)이 작년 대비 29% 증가한 4963억원을 기록하면서 삼성화재를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메리츠화재가 타 사에 비해 보수적으로 계리적 가정을 해왔던 것이 주효했다고 업계에서는 분석한다.

이는 지난 1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 당시 김용범 메리츠금융그룹 대표이사 부회장의 발언과도 일치했다. 김 부회장은 "예실차가 각 회사별로 얼마가 되는지 보면 그 회사가 가정을 얼마나 보수적으로 쓰는지, 공격적으로 쓰는지 판단할 수 있다"며 "메리츠는 예정 대비 실제 손해율이 90%밖에 안 될 정도로 굉장히 보수적으로 (계리적 가정을) 쓰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일부 보험사에서 CSM 산출 시 계리적 가정을 적용하면 메리츠의 부채는 대폭 낮아지고 순익은 크게 오를 것"이라며 실적 부풀리기 논란을 지적하기도 했다.

앞서 메리츠화재는 3분기 누적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1조7959억원, 1조335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26.7% 증가했다고 밝혔다. 김상훈 메리츠금융 IR 상무는 "이번 분기 보험손익의 큰 변화는 실손 가이드라인 적용 효과로 최선추정부채는 약 8000억원 이상 감소했으며 CSM은 약 6000억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씨티
KB국민은행
스마일게이트
교촌
SC제일은행
DB손해보험
한화
NH투자증
NH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db
신한금융지주
한화투자증권
하나금융그룹
신한투자증권
롯데캐슬
삼성전자
삼성화재
포스코
카카오
신한은행
우리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