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배터리 한파에도 대기업 된 에코프로···'샴페인' 전에 한고비 넘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유환 기자
2024-05-17 16:27:07

공정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

계열사 채무보증 2967억원은 해소 필요

"시장 둔화세에 내년까진 버텨야"

에코프로 사진에코프로 제공
에코프로 그래픽 이미지 [사진=에코프로]
[이코노믹데일리] 배터리 소재 업체 에코프로가 '상호출자 제한 기업집단(상출집단)'으로 지정되며 대기업 일원으로 합류했다. 그러나 샴페인을 터뜨리기 전 채무 해소 등 보릿고개부터 넘어야 할 걸로 보인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말 기준 자산 총액이 국내총생산(GDP)의 0.5%인 10조4000억원 이상 48개 기업 집단을 상출집단으로 지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상출집단은 편법적인 승계와 기업 간 내부 불공정 거래 등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제도다. 공정위에서 매년 자산 총액을 기준으로 새롭게 지정하고 있으며 소위 '대기업'의 관문으로 불린다.

에코프로는 지난해 말 기준 자산 총액 11조2190억원으로 상출집단에 들어갔다. 2022년엔 자산 총액 6조9350억원으로 지난해 상출집단 전 단계인 '공시대상 기업집단'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1년 만에 자산이 61.7% 많아지며 대기업에 올라선 것이다. 재계 순위도 62위에서 47위까지 15계단 상승했다.

상출집단이 규제를 목적으로 하는 제도인 만큼 기업 활동에 제한 사항도 늘어난다. 계열사 간 상호출자 금지를 비롯해 금융·보험사 의결권 제한, 채무보증 제한 등이 추가된다. 에코프로의 경우 이미 수직 계열화를 이루고 있어 상호출자와 금융·보험사 의결권 제한에선 자유롭다.

에코프로가 가진 계열사 보증금 채무는 2967억원이다. 상출집단 지정일로부터 2년 이내에 채무를 해소하거나 보증을 변경해야 한다.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총계가 1분기 기준 7조4381억원으로 채무로 인해 위급한 상황이 생기진 않을 걸로 보인다. 다만 앞으로 지주사의 신용을 이용해 자금 확보가 어렵다는 점이 과제로 지적된다.

전기차 둔화 여파로 실적이 악화되며 유상 증자를 통한 자금 확보도 어려워질 전망이다. 에코프로는 지난해 4분기 1224억원의 영업적자를 봤고 올해 1분기에도 영업적자 298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연간 영업이익 6189억원을 거두던 시점에 비해 주식 시장에서 매력도가 떨어진 탓이 컸다.

전문가는 에코프로와 핵심 계열사 에코프로비엠을 두고 최소한 올해 상반기까진 적자 고비를 넘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전기차 성장세 감소와 업황 악화로 2분기까지 저실적 기조를 이어갈 걸로 본다"며 "이르면 올해 하반기나 내년 들어서 미국과 유럽 신규 공장이 가동되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