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KT, 부산에 인터넷 3센터 구축! 통신망 안정성 대폭 강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2024-06-03 09:05:29

AICT 시대, 국내 최초 비수도권 인터넷 3센터 가동

KT가 국내 최초로 비수도권 지역인 부산에 인터넷 3센터를 구축했다 인터넷 3센터는 지난주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했다 KT 임직원이 부산에 구축된 인터넷 3센터의 전체적인 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KT가 국내 최초로 비수도권 지역인 부산에 인터넷 3센터를 구축했다. 인터넷 3센터는 지난주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했다. KT 임직원이 부산에 구축된 인터넷 3센터의 전체적인 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이코노믹데일리] KT(대표이사 김영섭)는 국내 최초로 비수도권 지역인 부산에 인터넷 3센터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인터넷 3센터는 재난, 정전 등으로 인해 수도권에 위치한 메인 통신센터(이하 1, 2센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주요 인터넷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시설이다. 전국에 있는 주요 인터넷 장비와 해외 통신망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 상황 시에는 DR(Disaster Recovery) 센터로 동작하고 평시에는 수도권에 집중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하는 구조(Alive DR)로 설계됐다.

KT는 수도권 1, 2센터가 동시에 가동되지 않는 상황을 연출해 국내외 주요 포털 서비스, 금융, 언론, 동영상 서비스가 3센터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검증했다. 또한, 인터넷 3센터를 통해 네트워크 구조 전체가 개선되면서 넷플릭스 등 글로벌 콘텐츠의 통신 지연(Latency)도 기존 대비 평균 18% 단축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KT는 이번 인터넷 3센터 개소로 주요 인터넷 시설을 3중화하는 등 통신망의 안정성을 대폭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고객들에게 안정적이고 더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국내외 인터넷 사업자와의 네트워크 분야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KT는 AI, ICT 기술 범위의 확장으로 통신망의 안정성이 통신사를 비롯해 플랫폼·콘텐츠 회사에게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인터넷 3센터 연결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네이버 클라우드 등 주요 콘텐츠 사업자들은 인터넷 3센터 개통과 동시에 이를 활용해 서비스 경로를 3곳으로 나눠 자사의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분산하고 있다.

권혜진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 상무는 "국민들의 모든 생활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면서 통신망의 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 사항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며, "KT 고객에게 고품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망 인프라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