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KT,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발…"시민 삶의 질 높인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2024-05-28 15:49:02

KT, 통신 데이터와 교통 등 공공 빅데이터 융합해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발

구역 250m격자 단위 · 시간 20분 단위 데이터 집계 산출로 세밀한 파악 가능

KT AI사업본부장 최준기 상무가 28일 서울시 신청사에서 열린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방 기자단 설명회에서 수도권 생활이동 개발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
KT AI사업본부장 최준기 상무가 28일 서울시 신청사에서 열린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방' 기자단 설명회에서 수도권 생활이동 개발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

[이코노믹데일리] KT(대표이사 김영섭)는 28일 휴대폰 기지국 신호 정보를 활용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데이터는 서울시에 제공해 교통, 주거, 도시공간 재구조화 등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각 분야의 혁신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쓰이게 된다.

이번에 개발된 데이터는 KT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통계청, 수도권 내 3개 연구원과 협력한 결과로, 서울·경기·인천 각 시도 안에서의 이동은 물론 시도 경계를 넘어 수도권 내에서 이동하거나, 수도권이 출발지이거나 도착지인 모든 사람들의 이동을 집계한 데이터다. 이는 지역(경기, 인천)을 포괄한 데이터를 개발해 상시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시도다.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기존의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보다 범위를 넓혔다. 출·퇴근과 등·하교 같이 정기적인 이동에서 쇼핑, 관광, 병원 등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까지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모든 이동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는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전국에서 서울과 수도권을 오가는 이동이 모두 대상이 된다.

KT는 휴대전화 통신 시그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민들의 이동을 기지국 단위로 집계하고, 서울 포함 수도권 전역을 읍면동(1182개)보다 더 세밀한 총 4만1천여 개 구역(250m 격자 단위)별로 20분 단위 이동을 추계하는 방식으로 산출했다.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준으로 얼마나 많은 인구가 이동했는지(이동인구), 출근·등교·병원·쇼핑·관광 등 어떤 목적으로 이동했는지(이동목적),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데 평균으로 얼마나 걸리는지(소요시간)를 매일, 20분 단위로 집계해 산출된다. 모든 이동정보는 시간대별·성별·연령대별로 세밀한 파악이 가능하다.

이번에 개발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앞으로 통근·통학 시간 단축을 위한 교통 인프라 개선, 버스노선 최적화, 청년주택 입지선정, 광역 도시공간 재설계 등 도시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교통·주택·광역도시계획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도 통근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는 지역을 찾아 교통 인프라(환승센터·정류장·버스노선 등)를 개선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또 수도권 지역과 서울 주변 지역 사이의 공간구조를 재설계함으로써 거점별 행정수요를 집중하거나 분산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거나 균형발전을 촉진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서울·경기·인천 간 촘촘한 이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동인구가 많고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지역에 버스 노선을 신설하거나, 병원·쇼핑센터·학교 등 공공시설의 입지를 선정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준기 KT AI사업본부장 상무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민·관·연 협력을 통해 더욱 가치 있는 데이터로 성장할 수 있다”며 “KT는 앞으로도 데이터 활용 생태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T가 개발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교통, 주택, 도시공간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도시민들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고, 삶의 질을 개선하며, 균형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민간 기업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