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하반기 위기대응 나선 재계…삼성·SK 등 그룹 '전략회의' 본격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아령 기자
2024-06-16 14:55:50

삼성 18일부터 글로벌전략회의…사업부문·지역별 현안 공유

SK, 28∼29일 경영전략회의 열고 'SKMS' 논의

현대차·롯데도 중장기 및 글로벌 전략 수립 예정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유대길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유대길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전략회의를 열고 하반기 위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재계 전반에 위기감이 커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18일부터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고 사업부별 미래 준비 전략에 머리를 맞댄다. 
 
올해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의 경우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8일 모바일경험(MX) 사업부를 시작으로 19일 생활가전(DA)·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 20일 전사 등의 순으로 글로벌 전략협의회를 개최한다. 사업부별 중점 추진 전략과 지역별 목표 달성 전략, CX·MDE(고객 중심 멀티 디바이스 경험) 활성화 전략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전영현 부회장이 부문장을 맡은 뒤 처음 열리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글로벌 판매전략회의는 오는 25일 경기 화성사업장에서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지난해 반도체 사업이 15조원에 육박하는 사상 최대 적자를 낸 데다,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파운드리 사업 등이 부진하며 위기감이 커진 가운데 최근 부문장까지 전격 교체된 만큼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강도 높은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이재용 회장이 최근 2주간 미국 출장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다지고 메타와 아마존, 퀄컴 등 빅테크 기업과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한 만큼 이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도출하는 데 주력하며 위기 극복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SK그룹은 오는 28일과 29일 이틀간 경기 이천 SKMS연구소에서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등 경영진이 참석하는 경영전략회의를 열고 SK 고유의 경영 철학인 ‘SKMS’ 실천과 확산 방안을 중점 논의한다.
 
고(故) 최종현 선대회장이 1979년 처음 정립한 SKMS는 SK그룹의 경영 체계로, ‘SK의 경영헌법’으로도 불린다.
 
현재 사업 포트폴리오 점검 작업 중인 SK그룹은 사업 리밸런싱에 속도를 내기 위해 변화와 혁신을 이끌 강한 기업문화 회복이 필요하다고 보고 SKMS 기본 정신을 회복하는 것을 화두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전략회의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최재원 SK이노베이션 수석부회장,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도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회의에서는 그룹 차원에서 추진 중인 리밸런싱 작업의 방향성 등도 논의될 계획이다.
 
최태원 회장은 앞서 지난 6일 대만을 찾아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인 TSMC의 이사회 의장으로 공식 선임된 웨이저자 회장 등을 만나 인공지능(AI) 반도체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매년 상·하반기 국내서 두 차례 해외권역본부장 회의를 열고 자율적 토론 방식으로 경영 현안을 논의하며 글로벌 전략을 수립한다.
 
올해 상반기 해외권역본부장 회의는 이르면 이달 말부터 1주일가량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와 기아 두 회사 CEO 주재 아래 권역본부장들과 판매, 생산 법인장들이 참석해 주요 시장별 전략을 점검한다.
 
롯데그룹은 다음 달 신동빈 회장 주재로 하반기 VCM(옛 사장단 회의)을 열어 그룹의 경영 상황과 중장기 전략을 논의한다.
 
롯데는 이 자리에서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저성장과 고금리·고물가로 소비 침체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케미칼·유통 등 주요 사업군의 지속 성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헬스 앤 웰니스, 모빌리티 등 롯데가 주력하는 신성장 동력 육성 현황도 점검한다.
 
이번 회의에도 신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전무가 함께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 전무는 지난해 말 그룹 정기인사에서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과 함께 롯데지주에 신설된 미래성장실장과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글로벌전략실장을 맡는 등 경영 승계 보폭을 넓히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국민은행
한국투자증권
한국조선해양
하나금융그룹
KB금융그룹3
엘지
신한은행
KB증권
여신금융협회
종근당
DB그룹
롯데케미칼
삼성전자 뉴스룸
신한금융그룹
농협
KT
동아쏘시오홀딩스
수협
포스코
교보증권
SK하이닉스
NH
신한카드
KB금융그룹1
KB금융그룹2
우리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