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2024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미국의 다론 아제모을루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경제학과 교수와 사이먼 존슨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정치학과 교수가 수상자로 선정된 뒤 '한국'을 이야기했다.
스웨덴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를 발표하며 "국가간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은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라며 "다론 아제모을루., 사이먼 존슨, 제임스 로빈슨의 획기적인 연구 덕분에 우리는 한 국가의 경제 체제가 실패하거나 성공하는 근본 원인에 대해 훨씬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수상자 발표 직후 열린 온라인 공동 기자회견엔 아제모을루 교수와 존슨 교수가 참여했다. 킴벌리 앨런 MIT 커뮤니케이션 디렉터가 진행했고 샐리 콘블루스 MIT 총장이 배석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남북한은 제도의 역할을 훌륭하게 보여주는 사례"라며 "남북한은 분단 전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서로 다른 제도 속에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 격차가 열 배 이상으로 벌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민주화 과정은 매우 어려웠지만, 한국은 민주화 이후 성장 속도를 더 높였고 성장 방식도 더 건강하게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존슨 교수 역시 자신의 배우자가 한국계 미국인이라 소개한 뒤 "쉬운 여정이 아니었고 오늘날 문제가 없는 건 아니지만 한국 경제는 훨씬 나은 상태"라며 "다른 나라들이 이룬 것에 비해 놀라운 성취를 이뤘다. 이는 우리가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지향하게 만들어야 할 방향이라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한국 경제가 극복해야 할 과제도 잊지 않고 전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한국은 여전히 대기업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동 수상자로 이날 간담회에 참석하지 못한 로빈슨 교수 역시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세계 역사상 가장 놀라운 경제적 성공담을 이룬 나라 중 하나"라고 평가한 뒤 "경제 측면에서 한국과 북한이 보여준 격차는 저서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에서 다루는 주요 사례 중 하나"라고 말했다.
존슨 교수는 아제모을루 교수와 함께 지난해 공동 집필한 저서 '권력과 진보'에서 최근 기술의 진보에 따른 부(富)가 소수에 편중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는 "북한은 소수 엘리트층에만 혜택이 돌아가는 착취적 제도에 장악된 반면 한국은 포용적 제도를 구축해 폭넓은 기회와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극적인 사회이동과 혁신을 창출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는) 삼성, 현대와 같은 산업 측면 뿐만 아니라 문화와 예술, K팝, 영화 측면에서도 이 같은 모든 혁신을 본다. 한국의 포용적 제도가 허용 한 인간의 창의성과 혁신들"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