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마지막으로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하며 3회 연속 금리를 내렸다. 내년 금리 인하 전망은 기존 4회에서 2회로 축소됐다.
18일(이하 현지시간)까지 이틀간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진행한 후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해 기존 4.50~4.75%에서 4.25~4.50%로 조정했다. 한국(3.0%)과의 금리차는 상단 기준 1.5%p로 좁혀졌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 기준금리를 0.5%p 내리는 빅컷을 단행했고, 지난달에는 0.25%p 인하했다. 이번 금리 인하는 세 차례 연속 하향 조정이다.
연준은 성명에서 "올해 초부터 노동 시장 상황은 전반적으로 완화되었고 실업률은 상승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낮다"면서 "인플레이션은 위원회의 목표치인 2%를 향한 진전을 이뤘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고자 지난 2022년 3월부터 금리 인상에 돌입해 5.5%(2023년 7월~2024년 9월)까지 올랐던 것에 비해 1%p 하락한 수치다. 최근 2년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준은 이날 경제전망예측(SEP)에서 내년 말 기준금리(중간값)는 기존 9월에 지시한 3.4%에서 0.5%p 상승한 3.9%로 전망했다. 이는 연준이 0.25%p 금리를 낮출 경우 9월 기준 4차례 인하가 예측됐지만 이번 조정으로 2차례로 줄어들게 됐다. 이로써 연준의 통화정책이 시장의 기대보다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임을 확인하게 됐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에서는 19명 위원 중 10명이 내년 금리에 3.75~4.0%로 관측했다. 4명은 4.0% 이상, 5명은 3.5% 이하란 의견을 제시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오늘 결정문에 금리 조정의 '폭과 시기'라는 표현을 통해 금리 추가조정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한 시점에 도달했거나 부근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언급했다.
그는 "정책 금리의 추가적인 조정을 고려할 때 우리는 더 신중을 기할 수 있다"면서 "이제부터는 새 국면"이라고 덧붙였다.
기태의 신영증권 연구원은 "정책적 불확실성 하에서 금리 인하 단행 및 인플레이션 우려를 같이 표하며 전망이 대체로 정돈되지 못한 느낌이었다"며 "이번 회의의 의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선제적으로 경계감을 표명하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평가했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성명서와 경제 전망은 예상보다 매파적이었는데 이번 경제 전망은 연준이 양대 책무 중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초기에 더 많이 반영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관세정책이 협상카드 정도로 쓰이고 부과 정도가 1기 때보다 약할 경우, 또는 금리인하 일시 중단 여파로 실업률 오름세가 지속된다면 언제든 금리인하는 재개될 수 있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번 FOMC에서 그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설명했다.
연준의 다음 FOMC 회의는 내년 1월 28~29일 열린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가 다음 달 20일 정식 출범한 뒤 진행된다.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내년 1월 13일 실시된다.
18일(이하 현지시간)까지 이틀간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진행한 후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해 기존 4.50~4.75%에서 4.25~4.50%로 조정했다. 한국(3.0%)과의 금리차는 상단 기준 1.5%p로 좁혀졌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 기준금리를 0.5%p 내리는 빅컷을 단행했고, 지난달에는 0.25%p 인하했다. 이번 금리 인하는 세 차례 연속 하향 조정이다.
연준은 성명에서 "올해 초부터 노동 시장 상황은 전반적으로 완화되었고 실업률은 상승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낮다"면서 "인플레이션은 위원회의 목표치인 2%를 향한 진전을 이뤘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고자 지난 2022년 3월부터 금리 인상에 돌입해 5.5%(2023년 7월~2024년 9월)까지 올랐던 것에 비해 1%p 하락한 수치다. 최근 2년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준은 이날 경제전망예측(SEP)에서 내년 말 기준금리(중간값)는 기존 9월에 지시한 3.4%에서 0.5%p 상승한 3.9%로 전망했다. 이는 연준이 0.25%p 금리를 낮출 경우 9월 기준 4차례 인하가 예측됐지만 이번 조정으로 2차례로 줄어들게 됐다. 이로써 연준의 통화정책이 시장의 기대보다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임을 확인하게 됐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에서는 19명 위원 중 10명이 내년 금리에 3.75~4.0%로 관측했다. 4명은 4.0% 이상, 5명은 3.5% 이하란 의견을 제시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오늘 결정문에 금리 조정의 '폭과 시기'라는 표현을 통해 금리 추가조정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한 시점에 도달했거나 부근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언급했다.
그는 "정책 금리의 추가적인 조정을 고려할 때 우리는 더 신중을 기할 수 있다"면서 "이제부터는 새 국면"이라고 덧붙였다.
기태의 신영증권 연구원은 "정책적 불확실성 하에서 금리 인하 단행 및 인플레이션 우려를 같이 표하며 전망이 대체로 정돈되지 못한 느낌이었다"며 "이번 회의의 의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선제적으로 경계감을 표명하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평가했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성명서와 경제 전망은 예상보다 매파적이었는데 이번 경제 전망은 연준이 양대 책무 중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초기에 더 많이 반영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관세정책이 협상카드 정도로 쓰이고 부과 정도가 1기 때보다 약할 경우, 또는 금리인하 일시 중단 여파로 실업률 오름세가 지속된다면 언제든 금리인하는 재개될 수 있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번 FOMC에서 그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설명했다.
연준의 다음 FOMC 회의는 내년 1월 28~29일 열린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가 다음 달 20일 정식 출범한 뒤 진행된다.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내년 1월 13일 실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