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라인야후도 딥시크 사용 금지… 네이버-소프트뱅크 합작사, 보안 우려에 선제 대응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2.05 수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2˚C
맑음 대구 -4˚C
흐림 인천 -7˚C
광주 -6˚C
흐림 대전 -5˚C
맑음 울산 -5˚C
맑음 강릉 -8˚C
흐림 제주 4˚C
IT

라인야후도 딥시크 사용 금지… 네이버-소프트뱅크 합작사, 보안 우려에 선제 대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2-05 17:40:42

라인야후, 본사 및 계열사에 딥시크 업무 목적 사용 금지령

"개인정보 유출 우려" 日 정부도 딥시크 사용 주의 당부

라인야후  사진연합뉴스
라인야후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그룹의 합작사인 라인야후(LY 주식회사)가 중국산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의 업무 목적 사용을 금지하며 딥시크를 둘러싼 보안 우려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5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라인야후는 최근 본사를 비롯해 라인플러스, IPX, 라인게임즈 등 주요 계열사에 업무 목적으로 딥시크 이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공지를 내렸다. 

라인야후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의 합작사인 일본 Z홀딩스가 지난해 산하 '라인'과 '야후재팬'을 합병해 출범한 회사로 라인플러스를 통해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딥시크가 이용자의 기기 정보, IP 주소,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등 개인정보 보안 문제가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일본 정부는 최근 정부 기관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자제하도록 하고 자국민에게도 사용에 주의할 것을 당부한 바 있다.

국내 라인 그룹사의 한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 라인 계열사가 동일한 그룹웨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 보안 정책 역시 동일하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경쟁사인 카카오 역시 이날 사내에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하며 딥시크 사용 금지 대열에 합류했다. 이처럼 딥시크 사용 금지 움직임은 국내외 IT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은행
여신금융협회
우리은행_1
종근당
KT
농협
신한금융
하나금융그룹
쿠팡
NH
KB손해보험
하나카드
우리은행_2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