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에 더 많이 공급할 계획이라고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발표한 상호관세에 따른 것으로 중국보다 관세가 낮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들여와 관세 부담을 줄이겠다는 의도다.
WSJ는 "이번 결정은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에 대응하기 위한 단기적인 임시 조치"라며 "애플은 현 상황에서 공급망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변경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중국에서 생산한 뒤 미국으로 들어오는 제품에 대한 총 관세율은 54%로 증가했다. 또한 그는 중국이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반면 인도산 제품의 관세율은 26%에 그쳤다.
애플은 수년 동안 아이폰을 비롯한 주요 기기의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있으나 여전히 중국에서 대부분의 물량을 생산해 미국에 공급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따르면 올해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할 예정인 아이폰은 약 2500만대로 이 중 약 1000만대는 인도 시장에 공급된다.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된 모든 아이폰을 미국 국내용으로 전환할 경우 올해 미국 아이폰 수요의 50%가량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로 인해 현재 1100달러(약 161만7500원)로 책정된 아이폰16 프로의 경우 550달러 수준의 하드웨어 가격에 최대 300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관세가 중국의 절반 수준인 인도에서 아이폰을 들여오면 손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애플은 지난 2017년부터 파트너사와 협력해 인도에서 아이폰을 조립해 왔으며 현재는 최신 모델까지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WSJ은 "애플이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을 늘릴 계획이지만 폭스콘 등 파트너사는 중국의 공급업체 네트워크와 숙련된 노동력, 정부 지원 등을 바탕으로 거대한 시설을 운영 중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