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는 딥시크의 AI 챗봇 애플리케이션이 외견상 일반 서비스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으로 전송하고 보안 취약점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중국 법률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은밀하게 검열하거나 조작하는 모델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위원회는 특히 이 AI 모델 개발 과정에서 수출 통제 대상인 미국산 반도체 칩과 함께 미국 기술이 무단으로 도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우려를 표명했다.
보고서는 딥시크 설립자인 량원펑과 중국 정부 관련 조직 간의 연계 가능성도 비중 있게 다뤘다. 사이버 보안 기업 '페루트 시큐리티'의 분석 결과를 인용, 딥시크가 수집한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국영 통신사인 '차이나 모바일'과 연결된 인프라를 통해 전송된다는 사실을 적시했다.
위원회는 데이터 전송의 정확한 규모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구조가 미국민의 개인 정보에 대한 잠재적 접근 경로가 될 수 있다는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다. 아울러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앞서 제기했던 기술 불법 도용 의혹 또한 보고서에 포함됐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원회는 미국 정부에 AI 반도체 칩에 대한 수출 통제를 더욱 강화하고 싱가포르와 같이 중국으로 기술이 유출될 위험이 있는 지역으로의 수출을 엄격히 심사할 것을 권고했다. 이와 관련해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행정부가 딥시크의 미국 기술 구매를 차단하는 징벌적 조치를 고려 중이며 미국 내에서 딥시크 서비스 접근을 막는 방안까지 논의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한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엔비디아의 아시아 지역 반도체 판매에 대해서도 별도의 조사를 시작했다고 NYT는 덧붙였다. 위원회는 엔비디아가 관련 규정을 위반하고 딥시크 측에 의도적으로 AI 기술 및 제품을 공급했는지 여부를 평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환 조사 권한을 가진 위원회는 엔비디아 측에 2주 내로 아시아 11개국 내 모든 고객의 상세 정보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