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요일
흐림 서울 18˚C
흐림 부산 18˚C
흐림 대구 26˚C
안개 인천 14˚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5˚C
흐림 강릉 23˚C
흐림 제주 25˚C
IT

카카오,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 논란 가열, 경영권 향방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4-17 15:19:32

카카오 "FI 교체일 뿐" vs 노조 "사실상 경영권 매각"… 엇갈린 시각

사모펀드 인수·공적자금 투입 논란… 플랫폼 공공성 훼손 우려 고조

카카오 대표 캐릭터 라이언사진카카오
카카오 대표 캐릭터 '라이언'[사진=카카오]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 주요 계열사인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 매각 추진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카카오 측은 재무적 투자자(FI) 교체 목적의 논의라고 선을 긋고 있지만 노동조합은 이를 사실상의 경영권 매각 시도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플랫폼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 문제까지 얽히며 사태의 파장이 커지는 양상이다.

최근 카카오는 일부 계열사의 사업 구조 재편과 함께 재무적 투자자 변경을 모색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카카오모빌리티가 매각 대상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택시 호출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핵심 자회사로 현재 카카오가 지분 57.3%를 보유하며 최대 주주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카카오택시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모습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택시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모습 [사진=카카오모빌리티]


현재 논의되는 내용은 재무적 투자자인 TPG(29.04%), 칼라일(6.18%) 등이 보유한 지분을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VIG파트너스가 인수하는 방안이다. 전체 거래 규모는 약 2조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이와 관련해 17일 유영중 최고재무책임자(CFO) 명의의 사내 메시지를 통해 "카카오 차원의 경영권 매각 의사는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단순한 투자자 변경 논의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카카오 노조)는 사측의 설명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노조는 VIG파트너스 컨소시엄이 기존 FI 지분 외 카카오 보유 지분 일부까지 포함해 총 50% 이상의 지분 확보, 즉 경영권 인수를 목표로 한다는 내부 정보를 입수했다고 주장한다. 노조 측은 이를 근거로 이번 지분 매각 논의가 단순 FI 교체를 넘어선 사실상의 경영권 매각 절차라고 규정하고 있다.

노조가 특히 우려하는 지점은 사모펀드 주도의 경영이 가져올 공공성 훼손 가능성이다. 택시 호출, 내비게이션 등 카카오모빌리티의 주요 서비스는 이미 국민 다수가 이용하는 사회 기반 시설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단기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사모펀드가 경영권을 행사할 경우 요금 인상이나 서비스 축소, 고용 불안정 등 공익과 사용자 편익을 저해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노조의 주장이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크루유니언는 1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반대 산업은행 투자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크루유니언)는 1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반대, 산업은행 투자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번 매각 논의 과정에서 산업은행 등 공적 자금이 투입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논란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노조는 "국민의 편익과 직결된 플랫폼 기업을 이익 추구를 우선하는 사모펀드에 넘기는 과정에 국책은행 자금이 동원되는 것은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과거 일부 기업 사례에서 사모펀드 인수 후 구조조정이나 자산 매각 등이 이어진 전례가 있다는 점도 우려를 키우는 요인이다.

카카오가 경영권 매각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음에도 FI 지분만으로도 40%에 육박하는 규모의 거래가 성사될 경우 VIG파트너스가 실질적인 경영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카카오 측과 경영 참여 수준을 두고 VIG파트너스가 협상력을 발휘할 여지가 충분하다는 의미다. 카카오가 이번 지분 매각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경영권 매각은 없다"는 카카오의 주장이 단순한 위기 모면용 발언인지 진정한 경영 철학의 표현인지 여부는 이번 매각 협상 결과와 향후 카카오모빌리티의 운영 방식 변화를 통해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경남은행
SK하이닉스
부영그룹
smilegate
넷마블
하나금융그룹
DB그룹
하나증권
우리은행_1
KB
우리은행_2
메리츠증권
한화손해보험
우리WON
미래에셋자산운용
KB증권
보령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